메뉴

이혼 부부 차이리 반환 소송 판결에 中네티즌 “이러면 누가 결혼을 하나요?”

 

최근 중국에서 한 이혼 부부의 차이리(彩礼, 신랑측이 신부측에 보내는 돈) 반환 소송 판결이 화제가 되고 있다. 

중국에선 남자가 차이리를 준비하는 것이 오래된 전통이다. 한국도 비슷한 전통이 남아 남자가 큰 돈을 들여 집을 마련하려는 게 관례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사실상 거액의 지참금인 셈이다. 다만 중국에서 차이리는 여성 혹은 여성 집안에 주는 돈으로 인식된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문제는 세태의 변화다. 요즘 신세대를 비롯한 각 세대에서 이혼이 늘면서 준비해간 지참금을 되돌려 받으려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시대에 따라 관습이 변하는 게 당연하지만, 너무 지나치게 계산적으로만 변하는 듯해 씁쓸할 뿐이다.

11일 중국 현지 매체 훙싱신문(红星新闻)에 따르면 류 씨(남성)와 주 씨는 2020년 7월부터 교제를 시작해 9월 혼인신고를 했다. 류 씨는 그 과정에서 차이리로 주 씨에게 80만 위안을 보냈고 이어 오금(五金, 목걸이 반지 귀걸이 팔찌 발찌 등 결혼예물) 명목으로 26만 위안을 제공했다. 

하지만 결혼식 준비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해 두 사람은 11월 이혼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류 씨는 주 씨에게 106만 위안을 반환하라고 소송을 제기했고, 중국최고인민법원은 26만 위안도 차이리로 봐야하지만 결혼식 준비와 친지방문 등의 비용으로 지출됐기 때문에 80만 위안만 반환하라고 판결했다.

중국 네티즌은 2개월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26만 위안을 얻은 신부가 대단하다며, 이러면 아무도 결혼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런 문제들이 결혼을 기피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결혼을 하지 않으면 법적 보호를 할 수 있는 아이를 갖기 힘든 게 중국을 비롯한 한국의 문제다. 아직 우리에게 가족은 전통적인 호적 관념에 기초해 형성되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