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메이퇀, 겨울철 배달수요 증가로 라이더 30만 명 신규 채용

 

중국 라이더들은 현재 중국 소비유통사회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온라인 경제가 발전하면서 인터넷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천문학적인 수의 물건들을 라이더들이 소비자에게 전달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해주는 가장 소중한 존재가 바로 라이더들이다.

중국 배달 플랫폼 1위 업체 메이퇀(美团)이 겨울철 배달 수요 증가로 수십만명의 라이더를 추가로 고용한다고 밝혔다.

13일 중국 현지 매체 둥난넷(东南网)에 따르면 메이퇀은 1억 위안(약 182억 원)을 투입해 약 30만명의 음식 배달 라이더를 고용할 예정이다.

메이퇀의 라이더 신규 채용은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와 폭설로 배달 주문이 많이 밀리는 동북, 화북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또 파트타임으로 일하고자 하는 라이더를 위해 근무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기존 라이더가 신규 라이더를 추천할 경우 최대 1만 위안의 보상금을 받을 수 있다. 

2022년 말 기준 메이퇀의 라이더는 약 620만 명이며, 그 중 마스터 글럽에 속하는 약 3만 명의 베테랑 라이더가 신규 라이더에게 일대일 교육을 제공한다. 

둥난넷에 따르면 메이퇀은 중국 전역에 3만 8000여개의 라이더 전용 쉼터(骑手驿站)을 만들었으며, 라이더가 배울 수 있는 120개 이상의 직업 기술 과정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도 운영한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