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아첨하는 자는 항상 속셈이 있다


 

아첨은 참으로 무섭다. 받는 이만 모른다. 아첨은 누가 봐도 지나친 것이다. 주변에서 보는 이들은 누구나 그 지나침을 본다.

하지만 유독 받는 자만이 모른다. 아첨은 받는 이의 눈만을 가리는 술수다.

병으로 치면 아첨은 당뇨다. 당뇨병이 무서운 것은 신체의 기능을 서서히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피를 혼탁하게 해 조금씩 생명을 갉아먹는다. 당뇨로 인해 남보다 빠르게 신체 기능이 떨어지고 많은 합병증이 유발되지만 처음에는 대다수가 그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실 당뇨 자체는 당장의 아픔도, 불편함도 초래하지 않는다.

아첨은 이런 점에서 당뇨보다 더 무섭다. 마약과 같은 기쁨을 준다. 아첨을 받을수록 기뻐하고, 스스로 한계를 넘는다.

그리고 자신을 패망의 길로 몰아간다. 당뇨와 마약처럼···.

 

전국책 제책편에는 장의를 패망의 길로 몰아간 위나라 장군 공손연의 사례가 나온다. 단 한 번의 아첨으로 장의를 곤궁에 빠뜨린다.

때는 합종연횡이 한참이던 시기였다. 당시 위나라는 공손연을 앞세워 제나라를 쳤으나 승리하지 못하고 나라 힘만 쇠해졌다. 위나라 왕은 장의를 재상으로 삼고, 제나라와 화해를 한 뒤 진나라와 연횡을 했다.

제나라는 자신을 공격한 공손연이 위나라 조정에서 힘을 잃고 장의가 재상이 되자, 바로 화해의 손을 잡았다.

그런 상황이 되자 공손연은 장의가 못마땅했다. 장의를 내쫓기 위해 계략을 꾸민 뒤 왕에게 말했다.

"제가 장의를 미워하는 게 아닙니다. 저게 장의를 만날 수 있도록 해주시면 아십니다."

왕은 장의와 공손연이 만나도록 해줬다. 공손연은 성대한 잔치를 벌여 장의를 대접했다. 심지어 장의 앞에서 무릎으로 기어다니며 공손함을 보였다.

장의는 너무도 기뻤다. 위나라 최고 장수인 공손연이 자신을 이리도 극진히 모시니 어찌 기쁘지 않을까. 잔치가 끝나고 공손연은 장의를 골목 끝까지 배웅해 인사를 했다.

이날 공손연의 태도는 나라 밖까지 소문이 날 정도였다.

제나라에서도 공손연의 장의를 위한 잔치가 화제가 됐다. 제나라 왕이 분노했다.

"아니 공손연은 내 원수같은 놈인데, 장의가 그런 자와 손을 잡다니···."

제나라는 당장 위나라와 화해 협정을 파기하고 연횡조차 끝을 냈다. 공손연의 ‘아첨 쇼’ 한 번에 장의의 평생 공이 무너져 내리고만 것이다.

 

그 천하의 장의도 아첨에 눈이 어두워져 십년공을 도루아미타불로 만들고만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