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중고차 판매량 1840만 대 돌파

 

'1841만 3300대'

2023년 중국 중고차 판매량이다. 지난해 한국내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 174만 9000대의 10배가 넘는 규모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다. 중고 자동차 시장 역시 그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이 애써 무시하고자 하지만, 중국 시장을 포기하고 한국 자동차가 성장하는 데 그만큼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15일 중국 현지 매체 IT즈자(之家)가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합회(乘联会)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중고차 누적 거래량은 1841만 3300대로 전년 대비 14.88% 증가했으며 거래액은 1조 1795억 위안(약 218조 원)에 달했다. 

차종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일반 승용차가 1089만 6700대(전년 대비 14.42% 증가), SUV 237만 8400대(16.8% 증가), MPV 114만 1400대(17.77% 증가), 크로스오버 36만 700대(2.85%)로 집계됐다. 또 중고 신에너지차는 76만 3000대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중고 상용차 거래량은 일반 화물차가 149만 7200대(전년 대비 15.53% 증가), 버스가 107만 2600대(3.11% 증가)로 조사됐다.

 

 

지난해 중국에서 판매된 중고차들의 이용연한은 3~6년이 43.54%로 가장 많았으며 3년이내가  27.97%, 7~10년이 20.24%, 10년 이상이 8.25%를 기록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3년이내 중고차 거래는 2%포인트 감소했고 3~6년 된 중고차 거래는 3.3%포인트 증가했다.

 

 

중고차 거래가격은 3만 위안 미만, 12만~15만 위안, 15만~30만 위안, 30만 위안 이상은 전년 대비 상승한 반면, 나머지 가격대는 모두 하락했다.

가격대별 점유율은 3만 위안 미만이 32.83%로 전년 대비 0.23% 증가했으며 12만~15만 위안은 4.77%(0.75% 증가), 15만~30만 위안은 9.29%(0.08% 증가), 30만 위안 이상은 2.95%(0.07% 증가)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