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인구 이동은 개혁개방과 함께 시작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다. 농촌 인구가 대거 도시로 유입돼 값싼 노동력을 제공했지만, 도시에는 빈민촌 형성 등 각종 폐단을 야기했다.
무엇보다 중국은 거주의 이전이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나라다. 과거에는 강력한 호적제도가 있었다. 개혁개방 초기만해도 주소 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런 이유로 주소는 농촌에 있으면서, 도시에 몰래 들어와 생활하는 '불법 이주'가 많았다.
이런 농촌의 도시 유입 노동인구를 '농민공'이라고 불렀다. 한국에서 불법 체류자들이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듯 중국 농민공들도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처지에서 일을 해야 했다.
이런 상황 속에 인민일보가 일본의 최근 인구 이동 상황을 상세히 보도해 눈길을 끌었다. 일본 농촌 인구 역시 도시 이주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아시아 최고 선진국이라는 일본이라고 다를 것이 없다"는 반응이다.
23일 인민일보는 일본 총무성이 최근 발표한 지난해 인구 이동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도쿄도(東京都) 순유입 인구가 6만 8285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3만여 명 늘어난 것으로 증가율이 무려 80%에 달했다.
총무성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도쿄로 이주한 사람은 45만 4133명으로 전년보다 약 1만 4000명 증가한 반면 도쿄 밖으로 이주한 사람은 38만 5848명으로 1만 6000명 가까이 감소했다.
인민일보는 일본 인구의 도쿄 집중 현상이 나날이 심화되고 있어 일본 정부가 2027년까지 계획한 도쿄 인구 균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도쿄는 일본 3대 도시권(도쿄, 오사카, 나고야) 가운데 유일하게 순유입 인구가 증가했다.
지난해 도쿄 도시권 유입 인구는 12만 6000여명으로 전년 대비 2만 6996명 증가했다. 반면 나고야 도시권과 오사카 도시권은 유출 인구가 각각 1만 8321명, 559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장 심각했던 지난 2021년 도쿄 도시권으로 전입한 인구는 5433명으로 2014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일본의 방역 정책이 완화되면서 도쿄 도시권에는 다시금 타지역 출신의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특히 신규 전입 인구의 대부분이 20~24세의 젊은층으로 분석됐다.
중국 네티즌은 “지방 인구의 대도시 전입은 중국이나 일본이나 마찬가지”라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