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對)중국 무역수지 17개월 만에 흑자 전환, 2월 +2.4억 달러 기록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한 524.1억 달러, 수입은 13.1% 감소한 481.1억 달러로 42.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월 수출은 설 연휴(2월 9~12일)에 따른 국내 조업일수 부족, 중국 춘제 연휴(春节, 2월 10~17일)로 인한 중국의 수요 감소 등 계절적 요인에도 불구 5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조업일수를 감안한 일평균 수출(25.6억 달러)은 전년 동월(22.7억 달러) 대비 12.5%, 전월 대비(22.8억 달러) 12.2% 등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수출의 우상향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2월에는 주요 9대 수출시장 중 5개 시장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인 대(對)중국 무역수지는 2022년 9월 이후 17개월 만에 흑자(+2.4억 달러)로 전환되었다. 수출은 최대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4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춘제 연휴 영향으로 석유화학·기계 등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보합세를 보였으나 일평균 수출(4.7억 달러)은 4.8% 증가하며 수출 개선 흐름을 이어나갔다.

미국 수출(+9.0%)은 1월에 이어 2월에도 월 기준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인 98억 달러를 기록, 7개월 연속 증가흐름을 이어갔다. 일본(+1.0%)・아세안(+1.4%) 수출은 5개월, 중남미(+25.1%)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며, CIS(+21.4%)로의 수출은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2월에는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 6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우리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66.7%)은 99억 달러를 기록, 2017년 10월(+69.6%)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디스플레이(+20.2%)・컴퓨터SSD(+18.4%) 수출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각각 7개월,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무선통신기기의 경우 스마트폰 수출은 +57.5% 증가하였으나, 부품 수출이 크게 감소(-31.9%)하며 전체적으로는 16.5% 감소하였다. 일반기계(+1.2%)는 11개월, 선박(+27.7%)은 7개월, 바이오헬스(+9.3%)는 4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자동차 수출은 설 연휴 휴무, 일부업체의 생산라인 정비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감소(-7.8%)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