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브릭스(BRICS) 확대에 대한 글로벌 여론조사, 긍정적 19% vs 부정적 17%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구성된 협의체인 브릭스(BRICS)는 올해 초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란, 이집트, 에티오피아 등 5개국의 신규 가입 승인을 마쳐 몸집을 키웠다.

20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갤럽 인터내셔널은 세계 44개국 성인 4만 4931명에게 브릭스 확대에 관해 어떻게 보는지 물었다. 그 결과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19%, '부정적'이란 반응은 17%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참여자 셋 중 두 명은 브릭스 확대에 관해 들어본 적이 없거나(32%) 의견을 유보해(어느 쪽도 아니다 24%, 모름/응답거절 8%) 전반적 주목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러시아, 이슬람 국가는 매우 긍정적인 반면 서방 국가는 대체로 부정적

 

브릭스 확대를 가장 긍정적으로 보는 나라는 러시아(38%), 이란(37%), 인도·나이지리아(36%) 순이며, 사우디아라비아(33%), 아르헨티나·말레이시아(32%), 아프가니스탄·인도네시아(31%) 등에서도 긍정론이 30%를 넘었다.

이들 나라 중 러시아와 인도는 기존 브릭스 회원국,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신규 가입국이며 아르헨티나는 발효 전 가입 철회한 곳이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에서는 브릭스 확대 사실을 들어본 적 없다고 답한 시민이 각각 55%, 39%에 달했다.

반면 서방국들은 브릭스 확대를 마뜩잖게 여겼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나토(NATO)에 가입한 북유럽 최대 중립국 스웨덴에서는 부정론이 45%에 달했고, 스페인·미국(30%), 인도·포르투갈·우크라이나(29%), 폴란드(28%) 등에서도 그 비율이 30% 안팎을 기록했다.

 

한국 조사에선 '긍정적' 13%, '부정적' 21%, 비인지 28%, 의견유보 38%

 

브릭스 확대에 관한 한국인의 생각은 긍정론(13%)과 부정론(21%) 차이가 크지 않고, 비인지 28%, 의견 유보 38%로 파악됐다.

국제금융센터 보고서 '브릭스 확장의 세계 경제 함의'에 따르면 현재 브릭스 10개국은 전 세계 GDP의 27%, 인구 45%, 영토 31%, 원유생산 42%, 상품수출 25%를 차지하는 등 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5% 내외의 고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어 향후 국제사회에서의 경제·정치적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