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1~2월 베이징 첨단기술 제조업 투자 33.9% 증가

 

2024년 중국 경제는 어디로 갈 것인가?

서방 사회는 올 중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반면, 중국 내부는 '안정적 성장'에 대단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중국 정치의 수도 베이징 시정부가 내놓은 경제 전망만 봐도 그렇다.

중국 베이징시 통계국이 올해 1~2월 베이징시 경제 동향 통합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첫 두 달 동안 베이징 경제는 안정을 추구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내수를 확대하고 산업구조를 개편하였다. 생산 수요가 향상되었으며 안정적인 시장가격을 형성해 전체 도시 경제가 선순환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전력 산업이 주도적 역할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전자, 전력 산업이 베이징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는 점이다.

1~2월 베이징의 규모이상 공업 부가가치를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중점산업을 살펴보면 컴퓨터, 통신, 기타 전자 디바이스 제조업이 26.8% 성장하였고 전력, 열에너지 생산 및 공급업이 11.2% 증가하였다.

자동차 제조업은 2.2% 성장했으며 5대 설비 제조업은 0.9% 증가했다. 신에너지차, 스마트폰, 풍력 발전 모듈,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이 각각 130%, 72.0%, 66.9%, 62.7% 증가하였다. 

 

인프라 투자 34% 증가

 

투자는 어떨까? 1~2월 베이징의 고정 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5%p 상승하였다.

분야를 나누어서 살펴보면 인프라 투자는 34.0% 증가하였고 제조업 투자는 30.3%, 부동산 개발 투자는 2.4% 증가하였다.  

주택건축 면적은 1억 382만㎡로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고, 그 중 주택 건축 면적은 4930.8만㎡로 12.1% 감소했다. 저렴한 주택 판매 집중에 힘입어 시의 상업용 주택 판매 면적은 115.2만㎡로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했으며, 그 중 주거용 주택 판매 면적은 82만 9000㎡로 14.6%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0.3% 증가

 

1~2월 베이징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3% 상승했다. 식품 물가는 5.0% 하락, 비식품 물가는 1.2% 상승, 소비재 물가는 1.4% 하락, 서비스 물가는 2.1% 상승했다.

1~2월 베이징시 소비재 소매 총액은 2374억 위안(약 4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였다. 규모이상 도매와 소매, 숙박, 요식업 기업의 온라인 판매액은 786억 3000만 위안(약 14조 5905억원)으로 2.9% 증가했다. 요식업 매출은 215억 1000만 위안으로 3.6% 증가하였고, 상품 소매 매출은 2159억 1000만 위안(약 40조 원)으로 2.5%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