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1~2월 베이징 첨단기술 제조업 투자 33.9% 증가

 

2024년 중국 경제는 어디로 갈 것인가?

서방 사회는 올 중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반면, 중국 내부는 '안정적 성장'에 대단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중국 정치의 수도 베이징 시정부가 내놓은 경제 전망만 봐도 그렇다.

중국 베이징시 통계국이 올해 1~2월 베이징시 경제 동향 통합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첫 두 달 동안 베이징 경제는 안정을 추구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내수를 확대하고 산업구조를 개편하였다. 생산 수요가 향상되었으며 안정적인 시장가격을 형성해 전체 도시 경제가 선순환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전력 산업이 주도적 역할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전자, 전력 산업이 베이징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는 점이다.

1~2월 베이징의 규모이상 공업 부가가치를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중점산업을 살펴보면 컴퓨터, 통신, 기타 전자 디바이스 제조업이 26.8% 성장하였고 전력, 열에너지 생산 및 공급업이 11.2% 증가하였다.

자동차 제조업은 2.2% 성장했으며 5대 설비 제조업은 0.9% 증가했다. 신에너지차, 스마트폰, 풍력 발전 모듈,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이 각각 130%, 72.0%, 66.9%, 62.7% 증가하였다. 

 

인프라 투자 34% 증가

 

투자는 어떨까? 1~2월 베이징의 고정 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5%p 상승하였다.

분야를 나누어서 살펴보면 인프라 투자는 34.0% 증가하였고 제조업 투자는 30.3%, 부동산 개발 투자는 2.4% 증가하였다.  

주택건축 면적은 1억 382만㎡로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고, 그 중 주택 건축 면적은 4930.8만㎡로 12.1% 감소했다. 저렴한 주택 판매 집중에 힘입어 시의 상업용 주택 판매 면적은 115.2만㎡로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했으며, 그 중 주거용 주택 판매 면적은 82만 9000㎡로 14.6%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0.3% 증가

 

1~2월 베이징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3% 상승했다. 식품 물가는 5.0% 하락, 비식품 물가는 1.2% 상승, 소비재 물가는 1.4% 하락, 서비스 물가는 2.1% 상승했다.

1~2월 베이징시 소비재 소매 총액은 2374억 위안(약 4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였다. 규모이상 도매와 소매, 숙박, 요식업 기업의 온라인 판매액은 786억 3000만 위안(약 14조 5905억원)으로 2.9% 증가했다. 요식업 매출은 215억 1000만 위안으로 3.6% 증가하였고, 상품 소매 매출은 2159억 1000만 위안(약 40조 원)으로 2.5%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