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레슬리 청, 아니타 무이 추억하는 홍콩 영화 회고전 개최

 

레슬리 청(Leslie Cheung)과 아니타 무이(Anita Mui)는 한국에선 '장국영(张国荣)', '매염방(梅艳芳)'이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배우들이다. 

중국에서도 많은 영화팬들의 사랑을 받았던 배우들이다. 

특히 장국영은 아시아 여성들은 물론, 서양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미소년형의 배우였다.

지난 2003년 세상을 떠난 두 슈퍼스타를 추억하는 '부활하는 젊음: 레슬리 청과 아니타 무이의 홍콩 영화 회고전(芳华再续: 张国荣, 梅艳芳香港电影回顾展)'이 중국 상하이 영화박물관에서 4월 1일까지 열린다.

전설적인 두 배우의 매력을 대형 스크린을 통해 다시 한 번 경험할 수 있는 이번 회고전은 상하이 주재 홍콩특별행정구 경제무역처(상하이 사무소), 상하이 영화박물관, 홍콩 영화 아카이브, 상하이 영화 아카이브가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번 회고전에선 두 배우의 첫 스크린 콜라보레이션인 '페이트'와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루즈 버튼' 등 1980년대부터 2000년까지 레슬리 청과 아니타 무이가 출연한 8편의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그 중 '어크로스 더 월드(Across the World)'와 '하프 라이프(Half Life)'는 최신 4K 복원 버전이다.

지난 23일 상하이 영화박물관에서 열린 오프닝 포럼에는 영화 '페이트'의 시나리오 작가 찬가상, 레슬리 청과 함께 영화를 작업한 홍콩 배우 겸 감독 딩즈쥔이 참석했다.

레슬리 청과 아니타 무이는 1980년대 중반부터 2000대 초반까지 영화계와 음악계를 넘나들며 홍콩 대중문화 황금기를 이끌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