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전역 강우량 순위 상하이 지역 1위~3위 차지

중국에 이미 전국 곳곳에서 폭우로 홍수가 나 인명이 상하고, 수재민이 나왔다. 최소 47명 이상이 숨졌다는 보도가 나왔다. 

우수리 강이 넘쳐 주변 마을이 수해를 입었다. 여름 장마, 태풍은 아직 오지도 않았는데, 일어난 수해다. 

중국 곳곳에서 역대 최대 강우량 기록을 갱신하는 폭우가 왔다. '물폭탄'이라는 말이 딱 어울리는 상황이다. 여기에 올해 여름 최대 한달이라는 유래 없이 긴 장마기간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도대체 얼마나 많은 비가 쏟아지려고 이러는 것일까. 역대 최대 수해 피해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상 기온의 전조에 중국 당국이 떨고 있다. 지난 6월에는 폭염으로 지표면 온도가 섭씨 70도를 넘는 지역이 나타났고 7월에는 장마, 8월에는 무더위가 예상되고 있다.

평소 강수량이 많은 지역별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중국에서 강수량이 많은 지역은 어느 곳이 있을까? 중국 매체들은 일제히 지역별 강수량을 살피며 수해 대비를 촉구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에서 강수량이 많은 곳은 상하이가 꼽혔다. 중국 최대 금융경제의 도시가 수해의 도시로 가장 우려되는 것이다. 

지역 발전이 가장 앞선 곳이라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까? 사실 수해는 상하이처럼 상하수도 수리 설비가 잘 된 지역보다는 강주변의 낙후된 도시들에게서 나온다. 

결국 수해는 가난해 겪는 재난인 것이다. 모두가 천재라고 하지만, 결국 인재인 셈이다. 

 

중국매체들이 전하는 중국 지역별 강수량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6월 30일 기준)

 

1위 상하이 쉬지아후이

2위 상하이 칭푸

3위 상하이 푸동

4위 후난 롱후이

5위 광시 우쉬엔

6위 안후이 랑시

7위 헤이룽장 이란

8위 후난 러우디

9위 안후이 통링

10위 장시 우닝

 

하위 순위로 갈수록 지역 발전 수준이 떨어지는 듯 하다. 그만큼 하위로 갈수록 수해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것이다. 

모두가 수해에 대한 대비를 잘 해 큰 피해없는 여름을 맞길 기원해 본다. 중국 못지 않게 한국 지역에도 갖는 바람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