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스트리아 비엔나,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아시아 일본 오사카만 10권내

북미지역 도시들이 상위권...아시아 중하위권

사람 사는 곳이라고 다 같지 않다. 어느 곳은 주변 환경이 좋고, 어떤 곳은 국가발전 수준이 높아 교통 및 의료시설 등 삶의 인프라가 남다르다.

하지만 생활비가 비싸기 일쑤다. 서민들에게는 ‘그림에 떡’에 불과한 장소도 많다.

반면 글로벌 사회를 뒤져보면, 의외로 삶의 인프라는 물론 주변 자연환경도 좋으면서 생활비도 싼 곳이 있다.

그럼 세계에게 가장 살기 좋은 도시는 어디일까? 서울, 도쿄, 런던, 베이징?

모두 삶의 인프라는 몰라도, 생활비가 비싸기로 유명한 곳들이다. 살기 좋다고 손으로 꼽히기에는 부족함이 크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이 글로벌 도시 173곳을 대상으로 한 평가 결과 역시 삶의 질이 좋기로 소문난 북유럽, 서유럽 도시들이 꼽혔다. 코펜하겐, 취리히, 제네바는 각각 2위, 3위, 6위를 차지하며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아시아에서는 호주의 멜버른과 시드니, 일본의 오사카,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등 4개 도시가 꼽혔다.

이번 조사대상 도시들이 얻은 삶의 질 평가 점수는 76.1점으로 직전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번 평가지수는 173개 도시의 5가지 주요 범주인 안정성, 의료, 문화 및 환경, 인프라 및 교육을 종합해 평가됐다. 100점 만점으로 평가했다.

평가를 한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에 따르면, ‘지정학적 갈등, 시민 불안 및 많은 도시의 주택 위기’가 전 세계의 거주 가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유닛은 생활비 위기 또한 많은 국가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주거비 인플레이션이 각국의 최대 현안이 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캐나다의 경우 주택공급이 저조한 상태에서 이민이 늘면서 주거비용이 급증했고, 이는 생활 물가의 전반적인 인상으로 이어졌다. 현재 캐나다 내부에서 이민에 대한 반감마저 생기고 있는 상황이라고 유닛은 전했다.

글로벌 각국에서 선거가 진행돼 각국이 농업에서 이민, 불만 및 사회 양극화 심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 변경이 이뤄졌다. 또 누메아, 뉴칼레도니아의 폭동, 미국 전역의 학교 시위 등 전 세계적으로 시민 불안과 시위가 증가해 거주 불안 역시 커졌다.

중동 전쟁에도 불구하고 중동 지역 도시들의 생활 편의 순위는 꾸준히 상승했다. 두바이, 아부다비, 리야드 그리고 제다와 같은 중동에 있는 도시들은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들의 순위에서 상승했다. 의료 및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들 도시를 더욱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었다는 평이다.

아랍 에미리트의 아부다비와 두바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두 도시로, 각각 81.7점과 80.8점으로 작년보다 두 계단 상승,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각각 76위와 78위를 차지했다.

 

다음은 전세계 살기 좋은 도시 순위

 

1위 오스트리아 비엔나

2위 덴마크 코펜하겐

3위 스위스 취리히

4위 호주 멜버른

5위 캐나다 캘거리

6위 스위스 제네바

7위 호주 시드니

8위 캐나다 벤쿠버

9위 일본 오사카

10위 뉴질랜드 오클랜드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