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네티즌, 택배 기사에 대한 찬반 양론 비등

최근 배달 기사가 아파트 단지에 출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이목이 집중되었다.

한국도 마찬가지만, 아파트 주민들이 다른 집에 오는 배달원을 싫어가기 때문이다. 사실 중국은 한국보다 더 개인적이고, 사적 공간이 폐쇄적이다. 

자연히 한국보다 더 외부에서 오는 배달원에 대한 배척감도 클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 배달원이 결국 자신들의 집에도 한번 방문을 하게 된다는 점은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 중국 네티즌들의 입장도 옹호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으로 비등하게 나뉘고 있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항저우, 상하이, 난징 등 일부 지역에서는 배달 기사에게 친절한 마을을 조성하자는 캠페인을 벌이고 배달 기사가 출입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논의하기도 하였다. 배달 기사 전용 통로 개설, 전용 지도 서비스 제공 등의 방법을 통해 배달 기사들의 출입, 주차, 충전 등 실질적인 문제를 하나 둘 씩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오늘날의 문제점을 잘 파악할 수 있다. 한동안 배달 기사가 아파트 단지 출입구에서 문전박대를 당하는 일이 자주 뉴스의 한꼭지를 담당하였고 관련 당사자들이 논쟁을 하거나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오늘날 도시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인력으로 자리잡은 배달 기사는 매일이 시간과의 싸움이다. 배달 시인이라고 불리는 왕지인은 시간과의 경주라는 시에서 공기에서 바람을 몰아내고, 바람에서 칼을 몰아내고…(중략)…시간과 경주하는 사람에게는 사계절이 없다, 오직 한 정거장과 다음 정거장만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배달 기사가 아파트 단지에 출입하기 어렵다면 결국 소비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스트 마일이 막힌 것이나 다름없다. 이는 관리 사무소, 플랫폼, 소비자 등 여러 당사자의 이익과 관련되어 있다. 단순히 배달 기사의 융통성 부족 문제가 아니며 아파트 관리측에서 주민의 안전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이해해야 한다. 일부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배달 기사에게 친절한 마을이라는 캠페인 등은 기존의 획일적인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관련 당사자의 이익을 모두 고려한 정교한 조치이기도 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