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에서 가장 도서관이 많은 도시는? 1위 선전, 2위 상하이 3위 항저우

도서 보유량 중국 10대 도시

인간의 발전은 언제부터일까? 

많은 이들이 주저하지 않고 이야기 한다. 바로 문자가 만들어진 이후다. 우리는 문자의 시대를 '역사의 시대'라 부른다.

문자가 만들어지고 사건을, 경험을 기록할 수 있게 되면서 인류는 지혜를 쌓을 수 있게 됐고 그 지혜를 학습한 뒤 새롭게 지혜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경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소위 문명은 모두 역사의 시대 등장을 한다. 바로 지혜들이 문명을 만들었다.

그 지혜의 집약을 우리는 '책'이라 부른다. 지혜를 모아 문자로 기록해 놓은 것이다. 

문자 기록의 발전이 문명의 발전 속도를 더하도록 했다. 나무 조각에 기록하던 것이 종이가 만들어지고 오늘날의 책이 등장했다.

더 많은 정보를 기록하고 전파할 수 있게 되면서 문명은 더욱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다. 20세기 들어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책은 더욱 간편한 형태가 됐다. 

더욱 작은 공간에 더욱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너무나 많은 지혜가 쌓이면서 문제가 생겼다. 인류 모두가 조금씩 책을 멀리하게 된 것이다. 문자 대신 쉽게 정보를 전해주는 동영상에 집중하게 됐다. 

하지만 톨스토이가 ‘인간의 꿈을 담은 책은 지혜의 열쇠’라고 말했듯, 책은 인류가 발전하는 계단과 같으며 여전히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는 누구도 부인하지 못하는 사실이다. 중국은 사실 책의 나라다. 도시마다 지역마다 그 지역의 사건을 기록하는 '당안관'이 있으며, 일반 장서를 보관해 주민들에게 읽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제도가 어느 나라보다 잘 돼 있다.

도서로서는 중국은 이미 선진국중의 선진국이다. 

그렇다면 중국에서 책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도시는 어딜까?

베이징? 상하이? 충칭?

1위는 경제와 IT의 도시 선전으로 나타났다. 2위는 상하이, 3위는 항저우였다. 베이징은 4위에 머물렀다. 

 

다음은 중국의 도서량과 도서관 수로 본 Top 10 순위다.

 

1위 선전

2위 상하이

3위 항저우

4위 베이징

5위 난징

6위 청두

7위 쑤저우

8위 톈진

9위 우한

10위 우시

 

선전에는 5억 7086만 권의 장서가 도시내 779곳의 공공 혹은 사립 도서관에 보관돼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압도적인 수치였다. 2위 상하이는 1445곳의 서점이 책을 시민들에게 팔고, 24곳의 공공 도서관이 책을 보유하고 있었다. 상하이 시민은 1인당 3.7권의 책을 보유하고 있었다.

3위 항저우는 1568곳의 서점이 있었으며, 2767만 권의 장서가 시내 보관돼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도서관은 100곳 이상으로만 알려져 있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