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자심득] 유가 있어야 무가 사는 건, 둘이 하나이기 때문이다.

 

모든 존재에

도의 원칙은 예외가 없다.

 

유한의 존재도,

무한의 존재도,

모두 도의 품에 있는 것이다.

 

있음 유(有)과 없음 무(無)

둘이 있어야

비로소 존재가 완성되는 것이다.

 

있고서야, 비로소

없을 수 있고,

없고서야, 비로소

있을 수 있다.

 

배 고프냐?

이제

배 부를 수 있겠구나!

 

배 고픔의 시작이

배 부름이요,

배 부름의 시작이

배 고픔인 것이다.

 

노자의 진리다.

세상의 쉽고

너무도

당연한 것들이다.

 

노자는 너무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여기도록 하기 위해

 

독특한 화법을 구사한다.

반어적 효과를 극대화한

‘상생의 화법’이다.

 

가는 건 

머문 탓이다.

한 쪽이 

오르면

다른 쪽은

내려간다.

 

이유는 간단하다.

둘이 하나이기 때문이다.

 

선과 악이 하나요.

추와 미가 하나다.

 

세상엔 만물이 있지만,

하나의 도만 있다.

 

하나의 도만 있다는 건

결국 

세상이 하나요, 그 세상의

만물이 하나란 의미다.

 

유가 있어 비로소

무가 있다는

상생의 도리를

그대로

화법에도 적용한

‘상생어법’이다.

 

처음 이상한 이 말은

곱씹을수록

논리에

이치에

맞는다.

 

“네가 선해지려는 것은

그 악을 알기 때문이요.

네가 예뻐지려는 것은

네가 그 추함을 알기 때문이다.”

 

결국

악함은 착함의 모자란 부분이요,

추함은 아름다움의 부족분이다.

 

생과 사

삶과 죽음도 다르지 않다.

삶은 죽음은 앞면이요,

죽음은 삶의 뒷면이다.

 

우리는 어쩌면

매일 

삶과 죽음을 되풀이 하며

사는 지도 모른다.

 

죽음 뒤에 

우리는 어쩌면

죽음과 삶을 되풀이 하며

사는지도 모른다.

 

유무가 본래 하나 듯,

삶과 죽음도 

본래 하나이기 때문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