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자심득] 언제가 네 앞의 뒤를 만나게 된다...머물지 않았는데, 어찌 떠난다 하는가?

노자의 원형 세계관,

 

노자의

그런 도를 따르면

있음에는

반드시

없음이 따름을 알고,

그 없음이 있어,

비로소

있음의 존재 값이

정해짐을 안다.

 

그래서 이 도리를 알고

따르는 이는

있음을 통해

없음을 알고

없음의 유용함을 안다.

있음의 가치를 안다.

 

그렇게 있고, 없음이 어울려

성장하는 게

만물이 성장하는 이치다.

 

없음에 힘써

있음이 쓰이도록 하는 걸

우리는

“공(功)을 이뤘다” 한다.

 

없음에 힘쓰니

뭘 한다

말할 게 없고,

그래

공을 이뤘다고

뭘 했다

말 할 게 없다.

 

말하지 않았다고

위하지 않은 게

아니다.

 

말 보다

행동으로 위하고

때로는

행동하기 보다

참고 지켜봄으로써

위하는 게

 

진정한 위함임을 안다.

진정한 사랑이 놓아줄 수 있는 사랑이듯,

진정한 위함은 

유로써

또 무로써 

다함이라는 것을 안다.

 

그저

있음(有) 앞(前)에

없음(無)을 있어

 

순서가 생기고

원형의 세계에서 

앞뒤가 

계속 나가

언젠가 

내 앞에 있는 뒤를 

만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노자는

시작을

시작이라 하지 않고

그 끝을

끝이라고도 않는다.

 

시작이 없으니

끝도 없다.

 

오직 머물지 않아야,

떠남도 없는 것이다.

 

“是以圣人居无为之事,行不言之教,万物作而弗始也,为而弗志也,成功而弗居也。夫唯弗居,是以弗去。”(시이성인거무위지사, 행부언지교, 만물작이불시야, 위이불지야, 성공이불거야, 부유불거)

"고로

성인 무로써 위함을 다하고

말없이 가르침을 행한다.

만물이 작용하도록 

조작한 적도,

뜻대로 움직인 적도 없으니

만물이 성장한들

내 몫이라,

내 영향이라

할 게 있는가?

처음부터 그렇게

지켜만 봤으니

앞으로 지켜만 볼 뿐이다.

머물지 않았는데,

어찌 떠난다 하는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