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샤오슝 전자(곰돌이 가전) 순이익 동기 대비 32% 하락...소형 가전 시장 점유율 변동

 

'약 21억 3,100만 위안'

한화로 약 4,024억 8,197만 원 가량의 액수다. 올 상반기 중국 소형 가전시장의 강자 샤오슝의 영업수익 실적이다. 전년 동기 대비 8.97% 줄었다.

중국 소비시장의 위축 정도를 보여주는 대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샤오슝(小熊) 전자는 최근 반기 실적 보고서를 발표했다.

상반기 회사의 영업 수익은 약 21억 3,100만 위안(약 4,024억 8,197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7% 감소했다. 상장 회사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은 약 1억 6,100만 위안( 약 304억 807만 원)이었다.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소폭 성장한 후, 샤오슝 전자는 올해 다시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하락하는 상황에 빠졌다. 1분기에는 매출 11억 9,400만 위안(한화 약 2,255억 원)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4.58%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1억 5,100만 위안(한화 약 285억 1,937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3% 감소했다. 2분기에는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매출은 9억 3,700만 위안(약 1,769억 7,119만 원)에 불과했고, 순이익은 약 1,000만 위안(약 18억)에 그쳤다.

샤오슝 전자의 매출 구조를 살펴보면, 주방 소형 가전의 수익이 항상 7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77.33%에 달했다. 회사의 최근 2년간 실적 성장 둔화는 주방 소형 가전 시장 전체의 성장 둔화와도 연관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샤오슝 전자의 주요 품목별 매출과 매출 총이익률 모두 하락했다. 예를 들어, 냄비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22% 하락했고, 매출 총이익률은 5.64% 하락했다. 주전자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14% 하락했고, 매출 총이익률은 6.39% 하락했다.

샤오슝 전자의 경영진은 올해 주방 소형 가전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이 하락했으며, 특히 '6.18' 기간 동안 시장 수요가 약화되고 가격 경쟁이 심화되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회사의 판매량과 단가가 모두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샤오슝 전자는 또한, 마케팅에 비해 연구 개발에 소홀했던 점도 실적 하락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샤오슝 전자의 판매비는 8억 8,400만 위안(약 1,669억 6,108만 원)에 달했지만, 연구 개발비는 1억 4,300만 위안(약 270억 841만 원)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에는 이러한 상황이 다소 개선되었다.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 둔화로 인해, 샤오슝 전자는 새로운 제품 라인을 확장하고 해외 시장을 개척하는 것을 돌파구로 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회사의 해외 판매는 약 1억 7,200만 위안(약 324억 8,564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66% 증가했다.

이에 따라 총 매출 중 해외 판매 비중이 8.09%에 달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