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독거인구 증가세에 중 네티즌 "두렵다"

 

한국 정부가 오는 2052년 한국에 1인 가구가 40%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자, 이웃 중국 네티즌들은 남의 일이 아니라를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적지 않은 중 네티즌들은 "두렵다"고 반응했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통계청의 최근 예측 보고서를 보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젊은이들의 결혼 지연과 인구 고령화 가속화 등의 영향으로 2052년이 되면 한국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이 40%를 넘을 전망이다.

 

한국통계청은 한국의 전체 가구 수는 2041년에 약 2,437만 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감소하여 2052년에는 약 2,328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2052년에는 약 962만 가구가 1인 가구로, 2022년의 34.1%에서 41.3%로 증가할 전망이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의 연합뉴스 보도를 인용, 경제 불황, 높은 집값, 결혼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의 젊은이들이 결혼이나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1인 가구의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1인 가구의 증가를 촉진하고 있다.

 

실제 2022년 기준으로 20대 젊은층이 1인 가구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해 18.7%였고, 그 뒤를 30대와 60대가 이었다. 그러나 2052년에는 80세 이상 노인이 1인 가구 중 23.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다 그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딩크족' 가구 비율은 2022년 17.3%에서 2052년 22.8%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통계청이 2023년 12월 발표한 인구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인구는 2020년 약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며, 그 이후로 매년 사망자가 출생자를 초과하고 있어, 이 추세에 따르면 50년 후 한국 총인구는 약 3,62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절반 가까이가 65세 이상의 노인일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세대주 연령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세대주의 중위 연령은 2022년 53.2세에서 2052년 65.4세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65세 이상의 '고령 세대주'는 2022년 522만 5천 가구에서 2052년 1,178만 8천 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중 네티즌들은 "안 그래도 힘든 데 자꾸 걱정거리만 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고령화, 독거시대는 중국 역시 쓰나미처럼 사회를 덮치는 공포 현상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