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불운의 지도자 류샤오치2] 달이 차고 기울 듯

달이 차고 기울 듯...류샤오치와 마오쩌둥의 가까웠다 멀어진 행보

 

류샤오치는 그렇게 중국 공산당 정치무대에서 강제로 끌어내려졌다. 중국 공산당사에 가장 기이한 회의로 꼽히는 지난 1968년 10월 13일 열린 중국 공산당 제 8기 중앙위원회 12차 전체회의는 류샤오치의 사형 선고를 내리는 회의였다.

마오쩌둥의 주도에 단 한 명을 빼고는 그 누구도 반발을 하지 못한 회의였다.

 

하지만 본래 마오쩌둥과 류샤오치의 사이가 나빴던 것은 아니었다. 둘을 가장 가까운 전우였다. 지난 1922년 마오쩌둥과 류샤오치는 안위안루 탄광 노동운동을 주도했다. 특히 둘은 왕밍의 좌경 교조주의 통치 시절 우파로 몰리는 고초를 함께 치르기도 했다.

무엇보다 중국 공산당의 무력 투쟁 노선에 대대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쭌의회의에서 류샤오치는 마오쩌둥의 편을 들어 마오가 공산당의 중심인물이 되도록 힘쓴 공이 있다. 좌경 교조주의에 맞서 류샤오치와 마오쩌둥은 생사를 함께한 동지였던 것이다.

 

류샤오치는 이 때 ‘공산당원 수양을 논하다’, ‘당내 투쟁을 논하다’ 등의 저작을 내놓으며 공산당의 좌경 교조주의를 비판했다. 마오쩌둥은 이런 류샤오치를 인정했다. 한 번은 보이보에게 마오쩌둥이 류샤오치에 대해 “류 동지야 말로, 우리 국민당내 비밀공작을 대변하는 인물”이라고 칭찬했을 정도다.

류샤오치는 1943년 연안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역을 맡는다. 이 때 서기는 마오쩌둥, 류샤오치, 런비스 등 3명이었다. 소위 마오쩌둥 사상이란 것을 정립하고, 당의 핵심 사상으로 자리 잡도록 한 게 바로 이 시기의 류샤오치였다. 류샤오치의 마오쩌둥의 관계를 짐작하도록 하는 대목이다.

류샤오치는 이 공이 인정돼 1945년 중국 공산당 제 7차 전국대표자대회에서 정치국 위원, 서기처 서기로 임명된다. 사실상 마오쩌둥에 이은 당내 2인자의 직위였다. 마오쩌둥 부재시 당의 실무를 책임지는 자리였다.

이어 1959년 류샤오치는 드디어 중국 국가 주석으로 당선이 된다. 이 때부터 중국내 출판된 출판물에는 류 주석과 마오주석의 이름이 나란히 쓰였다. 류 주석에게는 ‘마오 주석의 가장 친밀한 전우’라는 칭호도 주어졌다.

마오쩌둥은 지난 1961년 영국의 몽고메리 육군 원수를 면담했을 때 “류샤오치가 내 후계자”라 공식 언급하기도 했다.

그런 둘이 갈라선 것은 1962년초 한 가지 사건 때문이었다. 마오쩌둥은 훗날 기록을 통해 “1962년 류샤오치에게 다른 생각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쓰고 있다. 또 문화대혁명을 촉발시킨 마오쩌둥의 격문 ‘사령부를 폭격하라’는 글에서도 ‘1962년 우경화’라 이 사건을 지칭하고 있다.

과연 무엇이었을까? 무슨 사건이 그토록 친밀했던 마오쩌둥과 류샤오치의 사이를 서로 용납하지 못할 사이로 만들었을까?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