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정말 귀한 것은 함부로 드러내지 않는 법이다

감출 습(襲)

정말 귀한 것은

함부로 드러내지 않는다.

 

그러면 귀한 것을

귀하게 쓸 수 있다.

 

귀한 것을

함부로

드러내서는

지키기도

힘들뿐이다.

 

노자의 생각이다.

 

꼭 필요할 때

내놓는 게

귀한 것을 귀하게 쓰는 방법이다.

 

사물도 그렇지만,

사람의 지혜가

특히 그렇다.

 

정말 좋은 지혜는

꼭 필요할 때 내놓는 것이다.

 

흔히 지혜로운 이를

‘현명(賢明)하다’ 한다.

말 그대로

지혜가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현명해도

꼭 필요할 때

지혜를 발휘하지 못한다면

그 지혜가

아무리 많은들

무슨 소용이 있는가.

진정한 지혜는

평소 지혜로운 게 아니라

꼭 필요할 때

제시되는 지혜다.

 

노자는 그런 지혜를

‘습명’(襲明)이라 했다.

현명에

상대하는 게

바로

습명이다.

 

평소 감추고 있지만,

꼭 필요할 때

드러내고 쓰이는 지혜다.

 

쓰여진 습(襲)자의

본의를 알면

이해가 쉽다.

갑골자 습자는

사람 이 팔 뒤로

무기를 감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무기를 감췄다가

필요할 때

내려치는 게 바로 습(襲)이다.

 

갑골자 습에는

숨어서 공격하다는 의미도 있지만

그에 앞서 있는 게

쓸 무기를 감추고 있다는 뜻도 있다.

 

용(龍)아래 옷 의(衣)는

갑골자 모양이

이어지다 보니 만들어진

글자다.

 

굳이 비교하면

옷 속에 감춰진

용이라는 의미로 연관지을 수 있겠다.

 

습명은 평소에

감춰져 있지만,

필요할 드러나는

무기, 지혜다.

 

“현명하기를 버리고, 습명하라.”

“바보 되기가 힘들다”는 중국 격언이 여기서 나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