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하는 바람의 지혜; 풍(風) 3

우리는 더 많은 무(无)를 인식할 수는 없을까? 위기를 버텨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여기에 바람 풍의 지혜가 그것을 도와준다.  

 

 

한자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설문해자는 바람 풍과 관련 좀 엉뚱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八) 안에 벌레 충(蟲)이 있는 것으로 봤다그래서 먼저 사방에서 부는 여덟 개의 바람에 대해 이야기하고 바람이 불면 벌레가 생긴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설문해자가 전서만을 보고 갑골자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 오해다다만 설문해자의 해석에도 바람이 변화를 가져온다는 의미는 분명히 살았다는 게 갑골문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자 바람 풍의 쓰임을 보면 바람의 의미다 보다 더 명확해진다. 한자 의미 그대로 바람의 기운이란 뜻은 풍기(風氣)는 풍속(風俗)이란 뜻이다. 그 속에서 사람들은 살면서 그에 순응하는 문화를 만들어 간다. 바람은 집단뿐 아니라 개인도 만들어간다. 풍모(風貌), 풍격(風格) 등은 개인의 모습, 이미지를 일컫는 말이다. 흔히 ~풍 하면서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을 묶어서 말하기도 한다.
풍은 가장 인간적인 공감대다. 과학은 아직 왜 모든 인간이 동일하게 공통된 색감을 느끼는지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풀을 뿌려 바람은 본다고 한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법이다. 보이는 것들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을 본 것이다. 특히 바람 풍자는 사물의 변화만 보지 않고 사물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을 보도록 일러준다눈에 보이는 것만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도 보라고 조언하는 것이다. 
‘하늘의 뜻을 묻다’라는 주역 해설서를 쓴 이기동 교수는 주역을 읽어야 하는 이유로 재미있는 사례를 들었다. 흔들리는 버스 안에 찬 승객을 예가 그것이다. 그는 "버스가 급회전을 할 때 그 변화를 알거나 아예 자리에 기대어 변화에 저항하지 않는 것이 가장 변화에 피해를 적게 본다"고 지적했다
바람 풍자를 보며 명상을 하다 보면 스스로 못지 못한 것들이 있는지 반성하게 된다. 삶에서 우리는 왜 이런 지혜가 필요할까? 역시 바람 풍이 답을 한다. 이기동 교수가 찾아낸 답이기도 하다. 

바람을 오는 것을 보고, 내 날개를 넓게 펴라, 네 자신을 꼭 껴안아라. 스스로를 사랑하라. 그래서 이 바람을 이겨내라.” 

바람 풍자에는 바람에 맞서는 지혜까지 알려준다. 잠시 새처럼 스스로를 보호하라는 것이다. 살아남는 게 중요하다 일러주는 것이다. 몸이 온전하면 날 기회는 언제든 다시 온다. 
“구풍과강 만목절복 부최부절 유유가기”(飓风過崗,萬木折伏,不摧不折,悠悠可期; 거센 폭풍 불어와, 큰 나무뿌리 뽑힐 때, 굽힐 뿐 꺾이지 않으면, 그래도 언젠가 다시 기회가 오리니)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시다. 굽힐 줄 알아야 펼 줄도 안다. 바람 풍은 이 진리를 한 자에 담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바람은 변화다. 위험한 강풍만 있는 게 아니다. 제갈량과 주유가 모든 준비를 해놓고 기다리는 게 동녘의 바람 동풍이었다. 낙엽을 떨구고 새를 날개 속에 숨도록 하지만 다시 새를 날도록 하는 것도 바람이다. 바람은 위기요 기회다. 
이제 가슴속 한 귀퉁이에서 뭔가 새로운 소리가 들린다. 중국 시선 이백(701~762)의 목소리다.
“장풍파랑회유시, 직괘운범제창해”(長風破浪會有時, 直掛雲帆濟滄海거센 바람 파도를 가를 때가 오리니그때 돛 높이 달고 단숨에푸른 바다를 건너리.) 
바람의 지혜를 알고 읽으니 더 맛이 난다. 글=清露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