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12월 상반기 전기차만 53만대 이상 팔려

‘53.6만 대’

중국에서 올 12월 보름간 팔린 신에너지차량, 전기차량의 수다. 전년동기 대비 71% 급증했다. 중국의 전기차 시장의 포화설을 무색하게 하는 수치다.

승용차 연합회 공식 위챗 계정에 따르면,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승용차 신에너지 시장의 소매량은 53.6만 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71% 증가하였다.

중국 전기차가 가성비를 무기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자, 각국에서는 중국 전기차의 과잉생산 지적을 해왔다. 중국 차 제조사들이 자신들의 과잉생산을 처리하기 위해 소위 전기차 ‘땡처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이 같은 지적을 공식 부인해왔다. 중국 전기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번 수치는 이 같은 중국 당국의 입장을 옹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승용차 연합회는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승용차 시장 소매량이 108.3만 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34%, 전월 동기 대비 14% 증가하였으며, 올해 누적 소매량은 2134.1만 대로 전년 대비 6%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전국 승용차 제조사 도매량은 113.8만 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39%, 전월 동기 대비 4% 증가하였으며, 올해 누적 도매량은 2525.4만 대로 전년 대비 7% 증가하였다.

신에너지 부문에서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승용차 신에너지 시장 소매량은 53.6만 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71%, 전월 동기 대비 6% 증가하였으며, 올해 누적 소매량은 1013.2만 대로 전년 대비 43%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전국 승용차 제조사 신에너지 도매량은 58만 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68%, 전월 동기 대비 2% 증가하였으며, 올해 누적 도매량은 1129.8만 대로 전년 대비 39% 증가하였다.

승용차 연합회는 2024년 11월 리튬 배터리 탑재량이 67.2GWh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삼원계 배터리 탑재량은 13.6GWh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하였으며, 점유율은 20%로 동기 대비 하락하였다. 반면, 인산철 리튬 배터리 탑재량은 53.6GWh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하며 점유율 80%를 기록, 삼원계 배터리의 성장은 다소 둔화되었다. 1월부터 11월까지 리튬 배터리 누적 탑재량은 473GWh로 전년 대비 39% 증가하였다.

합격증 배터리 데이터를 기준으로 추산한 결과, 2024년 11월 신에너지 자동차의 합격증 기준 생산량은 145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하였다.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생산량은 1014만 대로 전년 대비 41% 늘었으며 이 중 순수 전기 승용차는 550만 대로 전년 대비 19%,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승용차는 412만 대로 전년 대비 85%, 순수 전기 특수차는 47만 대로 전년 대비 44% 증가하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