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징둥 오너 류창동 고향민들에게 개인당 최대 2000만 원 선물로 쏴...세금은?

 

지난 1월 8일 중국의 유통플랫폼인 징둥닷컴의 오너 류창동이 고향 마을 사람들에게 1인당 1만 위안, 한화로 약 200만 원 가량을 통 크게 쐈다. 최대 10만 위안(2000만 원)가량을 받은 이들도 있었다.

당장 중국 네티즌들의 부러움을 샀다. 그런데 이에 일각에서 “갑작스런 소득에 마을 사람들의 세금이 늘었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자 중국 매체들이 “개인의 홍바오(세뱃돈 등)은 과세 대상이 아니다”고 해명 기사를 썼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지난 8일 류창둥은 장쑤성 쑤첸시 쑤위구 라이룽진 광밍촌 주민들에게 노인용 휴대폰, 전기자전거, 보청기 등 따뜻한 설맞이 선물을 전달했다.

마을 내 60세 이상의 어르신들에게는 각 1만 위안의 현금 홍바오를 제공했다. 류창둥은 고향 주민들에게 보낸 설날 인사 편지에서 자신이 광밍촌에서 초등학교를 다녔을 당시 모든 재직 중인 선생님들에게 각 10만 위안의 현금 홍바오를 준비했다고 약속했다.

당장 중국 온라인은 부러움과 질시로 가득했다. 일각에서는 60세 이상의 마을 사람이나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받은 홍바오는 우발 소득으로 간주되어 개인소득세를 납부해야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 중국 매체가 취재한 결과, ‘납세자 상담 핫라인’은 “개인이 제공한 현금 또는 네트워크 홍바오는 개인소득세 과세 범위에 포함되지 않지만, 기업이 제공한 홍바오는 우발 소득으로 간주되어 개인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펑파이 뉴스는 2019년 발표된 <재정부·세무총국 개인 소득 관련 수익의 개인소득세 과세 소득 항목에 관한 공고> 제3조를 언급하며, 기업이 홍보, 광고 활동 중 본인 소속 외의 개인에게 무작위로 선물을 증정하거나 연회, 좌담회, 기념 행사 등에서 본인 소속 외의 개인에게 선물을 제공한 경우, 개인이 받은 선물 소득은 “우발 소득” 항목으로 계산하여 개인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 기업이 제공한 할인 쿠폰, 바우처 등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한다.

하지만 워낙 사례가 드물어 회사 대표가 개인적으로 지급한 홍바오 과세여부는 명확치가 않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지적이다.

중국 개인소득세법 제2조에 따르면, 다음 각 항목에 해당하는 개인 소득은 개인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임금 및 급여 소득/노동 보수 소득/원고료 소득/사용권 수수료 소득/경영 소득이자, 배당금, 배당 소득/재산 임대 소득/재산 양도 소득/우발 소득/

 

또한, 개인소득세법 시행령 제6조에서는 우발 소득에 대해 “개인이 상을 받거나 당첨되는 등 우발적인 소득”으로 정의하고 있다고 한다. 과거 다수의 지방 세무 당국에서는 네트워크 홍바오가 개인소득세 납부 대상인지 여부에 대해 해석을 내놓은 바 있다고 한다.

지난 2024년 12월, 다롄 세무 당국은 “개인이 기업으로부터 받은 현금 네트워크 홍바오는 우발 소득 항목으로 계산해 개인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며, 이때 세금은 홍바오를 발행한 기업이 원천징수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개인 간에 제공된 현금 네트워크 홍바오는 개인소득세법 규정에 따른 과세 대상 소득에 해당하지 않으며, 과세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고 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