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내 마음에 ‘나’를 둘 때 비로소 우린 숨을 쉰다.

내 마음에 ‘나’를 둘 때

비로소 우린 숨을 쉰다.

 

 

마음 심(心)은 그릇이다.

무엇을 담느냐가 그릇의 용도를 결정한다.

 

 

마음은 텃밭이다.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난다.

 

마음은 그릇이다.

물을 담으면

물그릇이 되고

밥을 담으면

밥그릇이 된다.

 

밥그릇에 밥만 담는 법이 있냐고?

 

없다고 밥그릇에

물을 담으면

그건 이미 밥그릇이 아니다.

 

밥그릇이

물그릇이 된 것이다.

 

마음이란 게 그렇다.

미움을 담으면

미움그릇이 되고

사랑을 담으면

사랑그릇이 된다.

 

한자 마음 심(心)은 그렇게

단순한 생각을 담고 있다.

 

처음 누군가,

저렇게 복잡한 마음을 담은

심장이 궁금했으리라.

 

그래서

처음 누군가

실제로 사람의 심장을 꺼내

살펴보았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심장의 심(心)이

그렇게 정확하게

심장 형태를 담지 못했을 터다.

 

갑골자 심(心)을 보면

무슨 말인지

정확히 안다.

 

한자 심(心)는 그렇게 즉물(卽物)적이다.

 

다른 뜻이 없는 때문이다.

그래서

한자 심은 어떤 한자와 형성(形聲), 형의(形儀)를 이루는가가 중요하다.

 

밥이나 물이라면

그나마 좋지만

쓰레기를 담으면

그릇은 더 이상

그릇이 아니다.

쓰레기통이 된다.

 

향수를 만지면

몸에 향기가 나지만

오물을 만지면

몸에 악취가 난다.

 

마음에 무엇을 담느냐,

마음을 어디에 두느냐,

이 모든게

우리의 마음을 규정하게 하는 것이다.

 

그럼 마음에는 무엇을 두어야 할까?

아마도 가장 좋은 것은 스스로 자(自)가 아닌가 싶다.

 

마음에서 자신을 둘 때

휴식의 식(息)이 된다.

식은 ‘숨 쉰다’는 뜻이다.

 

내 마음에 ‘나’를 둘 때

우리는 비로소 숨을 쉬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