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내 마음에 ‘나’를 둘 때 비로소 우린 숨을 쉰다.

내 마음에 ‘나’를 둘 때

비로소 우린 숨을 쉰다.

 

 

마음 심(心)은 그릇이다.

무엇을 담느냐가 그릇의 용도를 결정한다.

 

 

마음은 텃밭이다.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난다.

 

마음은 그릇이다.

물을 담으면

물그릇이 되고

밥을 담으면

밥그릇이 된다.

 

밥그릇에 밥만 담는 법이 있냐고?

 

없다고 밥그릇에

물을 담으면

그건 이미 밥그릇이 아니다.

 

밥그릇이

물그릇이 된 것이다.

 

마음이란 게 그렇다.

미움을 담으면

미움그릇이 되고

사랑을 담으면

사랑그릇이 된다.

 

한자 마음 심(心)은 그렇게

단순한 생각을 담고 있다.

 

처음 누군가,

저렇게 복잡한 마음을 담은

심장이 궁금했으리라.

 

그래서

처음 누군가

실제로 사람의 심장을 꺼내

살펴보았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심장의 심(心)이

그렇게 정확하게

심장 형태를 담지 못했을 터다.

 

갑골자 심(心)을 보면

무슨 말인지

정확히 안다.

 

한자 심(心)는 그렇게 즉물(卽物)적이다.

 

다른 뜻이 없는 때문이다.

그래서

한자 심은 어떤 한자와 형성(形聲), 형의(形儀)를 이루는가가 중요하다.

 

밥이나 물이라면

그나마 좋지만

쓰레기를 담으면

그릇은 더 이상

그릇이 아니다.

쓰레기통이 된다.

 

향수를 만지면

몸에 향기가 나지만

오물을 만지면

몸에 악취가 난다.

 

마음에 무엇을 담느냐,

마음을 어디에 두느냐,

이 모든게

우리의 마음을 규정하게 하는 것이다.

 

그럼 마음에는 무엇을 두어야 할까?

아마도 가장 좋은 것은 스스로 자(自)가 아닌가 싶다.

 

마음에서 자신을 둘 때

휴식의 식(息)이 된다.

식은 ‘숨 쉰다’는 뜻이다.

 

내 마음에 ‘나’를 둘 때

우리는 비로소 숨을 쉬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당국 어린이를 위한 각종 과학경시대회가 극성 학부모들의 치맛바람에 오염되자 결국 제도로 규제 나서
중국에서 각종 과학경시대회가 극성 학부모들의 치맛바람에 오염되자, 결국 제도로 규제하기 시작했다. 관련 규정을 만들고 오염사례 발견시 적극 처벌키로 했다. 이는 중국 각 지역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종류의 청소년들의 과학기술 혁신 경진대회들은 최근 그 진행과정에서 학생이 상을 수상한 발명품이 부모의 연구 성과와 동일한 경우가 드러나는 사례가 속출해 학생 경진대회가 아니라, 학생을 빌미로 한 한부모 경진대회라는 오명을 받고 있었다. 전국 청소년 과학기술 혁신 대회는 1982년 창설된 이후 40여 년간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수많은 청소년의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각 지역에서 청소년 과학기술 혁신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과학기술 교육 수준의 지속적인 향상을 이끌어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전국 및 지방의 각종 청소년 과학기술 대회는 ‘부모의 배경 경쟁’ 논란에 휩싸였다. 일부 학생의 수상 발명품이 부모의 연구 성과와 거의 동일한 경우가 있었으며, 일부 교육 기관에서는 실험 보고서 작성부터 중복 검토, 유명 교수의 지도 연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홍보했다. 또한, 일부 수상작이 중·고등학생의 인지 수준을 넘어서는 수준이어서,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