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 아프리카 외교 35주년, 아프리카는 ‘식 인류 운명공동체’의 첫 포종지역이 될 것인가.
왕이 중국 외교부 장관이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정식 초정을 받고 아프리카 공식 순방에 나섰다.
중국 외교부 장관의 아프리카 순방길은 35년째 이어지는 공식행사다.
왕이 부장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을 겸직한 인물이다. 방문국은 나미비아, 콩고(브라자빌), 차드, 나이지리아 등이다.
2025년은 중국이 ‘중국식 인류 운명공동체’ 연구소를 설립하고, 중국 중심의 새로운 세계 질서를 시도하는 해다.
중국 외교부는 이 같은 중국 공산당의 시도를 집행하는 기구다.
과연 중국식 외교는 당국이 그토록 원하는 ‘중국식 인류 운명 공동체’의 공동 인원을 확보할 수 있을까?
35년간 중국이 공을 들인 아프리카에서 그 성과를 거둘 것인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991년 이래 중국 외교부장의 새해 첫 방문은 아프리카였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외교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번 방문은 35년 중국의 외교 전통을 이어가는 것이며, 중국과 아프리카의 우정이 시공간을 초월하고 산과 바다를 넘어 대대로 횃불을 전승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준다”고 평했다.
우촨화 중국-아프리카 연구소 부연구원은 “중국 외교부장의 이번 방문이 베이징 정상회담의 최신 성과인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의 이행을 촉진하고 각 분야에서 실무 협력을 심화하며 중국-아프리카 관계의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방문은 중국과 아프리카에 미래를 위한 전략적 계획과 실용적 차원의 결과 이행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촨화는 또 “새해 초에 중국 외교부장이 아프리카를 방문한 특정 국가는 항상 외부 세계의 관심의 초점이었다”며 “이번에 방문한 4개국은 모두 중국의 우호적인 협력 파트너이자 전통적 우호국이며 각각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실제 나미비아는 아프리카 남부, 콩고(브라자빌)와 차드는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는 서아프리카 국가다.
우촨화는 이어 "이번 방문은 지역적으로 균형이 잡혀 있으며, 중국-아프리카 관계 발전의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성격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인구 2억2700만명의 대국 나이지리아와 인구가 1828만 명에 불과한 차드도 중국 입장에서는 평등한 국가로 대접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한 말이다. 중국식 인류 운명공동체의 평등성을 강조한 말이기도 하다.
우촨화는 “국가 대 국가 교류에서 양측이 외교 관계 수립의 특별한 해에 방문을 신중하게 조정하는 것이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경우가 많다”라며 “외부 세계는 왕이 부장의 방문이 중국과 그가 방문한 국가 간의 관계 발전에 많은 중요한 이정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