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 1월 중국의 비제조업 업무 활동지수 ‘50.2%’

 

‘50.2%’

지난 1월 중국의 비제조업 업무 활동지수다. 전월보다 2.0%p 하락했지만 여전히 기준점을 웃돌았다.

비제조업의 종합 PMI 생산지수는 50.1%를 기록했다.

중국 당국이 중국 경제가 아직 안정적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조사 결과, 제조업 생산·경영활동 전망지수와 비제조업 업무활동 전망지수는 각각 55.3%와 56.7%를 기록했다.

중국 경제가 아직 침체가 아니라는 중국 당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수치다.

주요 원자재 구매 가격지수와 출고 가격지수는 각각 49.5%와 47.4%를 기록해 전월 대비 각각 1.3%p, 0.7%p 상승했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의 두 가격 지수가 큰 폭으로 반등하며 경기 확장 구간으로 진입했다.

또한 섬유·의류·액세서리, 제지·인쇄 및 문교·체육·오락용품 등의 업종에서는 두 가격 지수가 지속적으로 확장 구간에 머물며 관련 업종의 구매·판매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생산·경영활동 전망지수는 55.3%로 전월 대비 2.0%p 상승해 높은 경기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대부분의 제조업 기업이 춘제 이후 시장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업종별로 보면 철도·선박·항공우주 장비, 전기기계 기기 등의 산업에서 생산·경영활동 전망지수가 60.0% 이상을 기록하며, 해당 기업들의 시장 전망이 더욱 낙관적임을 보여줬다.

서비스업 업무활동지수는 50.3%로 전월 대비 1.7%p 하락했지만 여전히 확장세를 유지했다. 중국매체들은 업종별로 보면 춘제 효과로 인해 주민 이동과 소비 관련 산업인 도로운송, 숙박, 요식업, 생태 보호 및 공공시설 관리 등의 업종에서 업무활동지수가 확장 구간으로 상승하며 시장 활력이 강화됐다고 평했다.

또한 항공운송, 우편, 통신·방송·위성 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의 업종에서는 업무활동지수가 55.0% 이상을 유지하며 빠른 성장을 이어갔다. 시장 전망을 보면, 서비스업의 업무활동 전망지수는 56.8%로 높은 경기 수준을 지속했다.

다만 건설업 업무활동지수가 49.3%로 기준점 이하로 떨어졌다. 시장 전망을 보면 건설업의 업무활동 전망지수는 56.5%로 전월 대비 0.6%p 하락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