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도시재생' 개념 도입해 환경친화적 인문 중심의 도시 재개발 추진하자 중 네티즌 "기대크다"

 

중국 당국이 ‘도시 재생’이라는 개념을 내세워, 새로운 도시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주택 및 도시 농촌 건설을 환경친화적 인문적 품격을 지닌 형태와 주거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목표를 실천하기 위한 ‘전국 도시 재생 업무 배치 화상회의’가 최근 베이징에서 열렸다.

회의에서는 도시 재생이 도시 발전 모델 전환, 경제의 고품질 발전 촉진, 국민의 요구 충족에 있어 갖는 중대한 의미를 강조하며, 목표 지향과 문제 지향을 견지하고, 강력하고 질서 있으며 효과적으로 도시 재생의 주요 과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천명했다.

향후 회의에서 도출된 개념을 지역별로 세부 과제로 만들어 실천하기 위한 ‘지역 주택 및 도시 농촌 건설 업무 회의’도 잇달아 열릴 예정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중국 당국의 이 같은 시도에 큰 기대를 표시했다. 앞서 선전, 상하이, 구이양, 후베이성, 허베이성 등 여러 지역에서는 주택 및 도시 재생 부서를 신설하여 도시 재생의 기능을 명확히 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이자 국가 미래 도시 연구소 부주임인 왕예창은 “중국이 과거 급속한 도시화 단계를 거쳐 현재는 도시 발전이 증가 중심의 확장에서 변화를 꾀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도시병'을 해결하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되었다”고 강조했다.

중국에서 양적 도시 발전에서 질적 도시 발전을 이야기하는 ‘도시 재생’ 개념은 지난 2019년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처음 제기됐다. 지난 2021년 3월 정부 업무 보고 및 '14차 5개년 계획' 문서에 정식 포함되면서 국가 전략 차원으로 격상되었다.

주택도시농촌건설부에 따르면 전국 410여 개 도시에서 도시 재생 업무 지도 그룹을 설립하여 주요 지도자가 팀장을 맡아 정부 차원의 총괄 기능을 강화했다. 21개 도시는 도시 재생국을 설립하여 상시적으로 전담 관리하고 있으며, 12개 성은 성급 지도 체계를 구축하고, 7개 성은 도시 재생을 성급 정부 성과 평가에 포함시켰다. 또한, 10개 성에서는 단계적으로 성급 도시 재생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실 2019년 3월 11일, 선전시는 '선전시 도시 재생국'을 출범시켰으며, 이는 기존 '선전시 도시 재생 및 토지 정비국'의 명칭을 변경한 것이었다. 지난 2024년 4월 11일, 선전시 주택 및 건설국 웹사이트에는 '선전시 도시 재생국'과 '선전시 주택 및 건설국'의 주요 기능이 발표되었다.

전국 최초의 도시 재생국은 2015년 2월 28일 광둥성 광저우시에서 설립되었다. 이는 개조 프로젝트 데이터 조사 및 프로젝트 조율을 담당하는 정부 부서였다. 지난 2024년에는 후베이성 17개 하위 행정구역에서 주택 및 도시 재생국을 설립했으며, 이는 도시 관리 중점의 전환을 의미했다. 해당 지역은 12개 지급시(우한, 황스, 샹양, 징저우, 이창, 스옌, 샤오간, 징먼, 어저우, 황강, 시안닝, 수이저우), 1개 자치주(은시 토가족 묘족 자치주), 4개 성 직할 현급 행정구역(셴타오, 첸장, 톈먼, 선눙자 임구) 등을 포함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