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중국 허베이 싱타이 시의 전통산업 33% 이상 성장... 지방 경제 위기 우려는 여전

 

“중국 지역 경제가 나쁘다고?”

중국 지방정부 재정 악화는 중화권 매체들을 통해 전해지는 일반적인 소식이다. 그러자 중국 정부가 지난해 지방정부의 경제 성적표를 내밀며 반박하고 있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허베이성의 싱타이시만해도 지난해 전통산업이 전년보다 33% 이상 급성장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전 시의 산업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하였고, 산업 기술개선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33.1% 증가하였다. 전 시의 시공 산업 프로젝트는 1,140개, 기술 개조 프로젝트는 857개로 각각 동기 대비 261개와 238개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설비·공구 구매가 기술개선 투자의 급격한 성장 주요 요인이 되어 전년 동기 대비 35.6% 증가하였다.

또 지난해 전 시에서 신규 전문화·정교·특성화 중소기업 151개가 추가되어 누적으로 667개에 달하였고, 전문화·정교·특성화 “소거인” 기업은 누적으로 34개에 달하였다.

이는 시가 새로운 대규모 설비 갱신을 계기로 하여, <싱타이시 제조업 기술개선 및 업그레이드 촉진 행동계획>을 추진한 덕이라는 중국 매체들의 평가다.

시는 이 계획을 통해 선진 설비 갱신 가속화, 디지털 전환 추진, 친환경 장비 대대적 보급, 산업 본질 안전 수준 향상, 우수 제품 공급 능력 제고 등 5대 실천사항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공업정보부 심사를 통해 73개 프로젝트가 승인되었고, 대출 수요는 118억 위안(약 2조 3,563억 원)에 달하였으며, 승인된 프로젝트 수는 전 성에서 4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2024년도 부가가치세 추가 공제 정책 적용 선진 제조업 기업 명단 작성 및 신청 작업에서는, 현재까지 성 공동 심사를 거쳐 196개 기업이 승인되었다.

하지만 중국 싱타이시만해도 산업이 비교적 발달한 곳이다. 허베이성에서 특별히 지역 경제를 집중 육성한 곳이기도 하다.

중화권 매체들은 중국의 지방 정부 재정은 지난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공공부문에서 급여가 밀리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질 정도다. 지방 정부의 재정 위기는 2025년 중국 경제를 짓누르는 또 하나의 악재로 꼽히고 있다.

강준영 외국어대학교 글로벌지역연구센터 센터장은 "2025년 중국 경제의 승패는 중앙 정부의 정책이 좌우한다는 게 중국 경제 분석가들 사이의 공통된 인식"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