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歲月)을 낚는다. 내 살을 깎는다.”
한 생이다, 살아서 죽은 것.
생은 수많은 반복이다.
반복의 한 고리를 세(歲)라고 한다.
세는 하늘의 별, 목성의 이름이다.
밤하늘 가장 밝은 별이다.
더 밝은 별, 금성, 샛별이 새벽을 밝힐 때까지
목성이 밤하늘을 지킨다.
월도 하늘의 별, 달의 이름이다.
달은 별이라 하기에
크고 밝다.
태양의 빛을 보듬어
밤 대지를 비춘다.
급은 다르지만,
둘은 우리 생의 한 변화의 고리, 하루와 한 달을 상징한다.
목성의 빛에 샛별에
가리기 시작하면
새벽이 되고, 해에 가르면 낮이 된다.
밤하늘 ‘하루’의 증거가 바로 세(歲)다.
월은 밤마다 나타나
몸으로 한 달의 변화를 보여준다.
만월은 한 달의 끝,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본래 세(歲)는 시간의 의미는 아니었다.
갑골자에서 세(歲)는
과(戈)라는 무기로 살을 도려내는 이미지를 형상화한 글자였다.
다리에서 다리를 떼어낸 모습이다.
잔혹한 형(刑)이다.
상나라 때 자형부터 보이는 것으로 보아, 고대 동양에서 부족들 사이에 널리 쓰였던 형벌로 보인다.
다만 세(歲)는 주나라 예기에서 이미 시간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일찌감치 목성을 의미하며, 시간의 의미를 지니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럼 왜 그많은 한자들 가운데
형벌을 의미하는 세(歲)가 목성의 이름이 됐을까? 세월을 세를 ‘깎아내다’, ‘잘라 내다’는 뜻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사실 세월은 달을 깎아낸다는 의미다. 스스로 모양을 깎아 한 달의 변화를 보여주는 달의 행동을 의미한다.
또 동양에서 인생은 정해진 천수를 줄여가는 의미다.
천수를 깎아내는 일,
그 게 삶이요, 인생인 것이다.
이리 생각하니, 내 여생이 더욱 애뜻해진다. 우리는 매일 그 생을 깎아 살아가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 살을 깎아내는 것, 그 게 삶이고
이제 누군가는 그 깎아낼 살조차 얼마 남지 않은 것이다.
남을 살을 보면 새 삶이 보이고,
내 여생이 더욱 애뜻해지기만 한다.
너무 사랑하는 데
행동하기에 힘이 부치고
내 행동이
항상 원하는 결과를 만들지 못함을 너무나 잘 아는 탓이다.
결국
마음만 졸이며, 응원하며
안타깝지만 지켜봐야만 본게 된다.
세월이 내 살을 깎은 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