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돈이 귀중한 게 아니라, 그 것과 바꾸는 대상이 귀중한 법이다.

돈이 귀중한 게 아니라, 그 것과 바꾸는 대상이 귀중한 법이다.

 

 

돈이란 게 참 그렇다. 사람들이 가치를 정하기 위한 약속인데, 사람들이 그 약속에 목을 맨다. 돈을 위해서 뭐든 하려고 든다.

때론 실제 목숨도 돈과 바꾸려한다.

 

옛날 한 자린고비가 비가 오는 날 급히 도랑을 건너다 동전을 빠뜨렸다. 놀라 돌아보니 동전은 돌다리 사이에 떨어져있었고 저 멀리에서는 비에 강물이 갈수록 불어나고 있었다. 몸을 돌려 다시 돌다리로 가기에는 불어난 물에 휩쓸릴 위험이 컸다.

 

하지만 자린고비 눈에 돈이 먼저 보였다. 자린고비가 생각하길, ‘머뭇거리다가 자칫 물이 더불어나 동전을 찾을 수 없겠어!’

모든 사람이 위험을 볼 때 자린고비는 기회를 본 것이다.

결국 자린고비가 몸을 날려, 돌다리 사이로 뛰어들었다. 손으로 동전을 잡는 순간, 거대한 물덩어리가 자린고비를 덮쳤다.

물 소용돌이에 휩쓸린 자린고비가 서너번 허덕이다 물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며칠 뒤 자린고비는 강 아래 나무통 위에 걸친 채 발견됐다. 이미 숨은 끊어진 채였지만 주먹을 꽉 쥔 손에는 동전 한 닢이 있었다.

사람들이 말했다.

“아 이 사람 정말 동전 한 닢에 목숨을 바꿨구먼.”

돈은 결국 바꾼 것에 대한 가치를 보여준다. 동전 한 닢에 바꿨으면 동전 한 닢의 가치가 있는 것이요, 황금 만 냥과 바꿨으면 황금 만 냥의 가치가 있는 물건이다.

가치는 여러 사람의 선택에 의해서 수렵되지만, 결국 지불하는 순간 지불하는 사람이 결정하는 것이다.

한 닢에 목숨을 바꿨다면 그 목숨 값은 동전 한 닢인 것이다.

목숨이 동전 한 닢 가치밖에 없다면 모두가 승복하지 않을 것이다. 목숨을 잃은 자리고비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결국 한 순간의 결정으로 목숨을 동전 한 닢과 바꿨다. 그의 생이 동전 한 닢의 가치로 확정된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