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만 죽자.
목숨 값이 얼마인지 누가 싶게 결정할 수 있을까? 그래서 예로부터 목숨을 거는 최선의 일로나라를 위한 일을 꼽았다.
여기서 나라하니까, 추상적이지 간단히 보면 많은 남을 위한 것이라는 의미다. 본래 나라라는 게 그 속의 수백만, 수천만의 사람들을 의미한 것이기 때문이다.
땅이 아무리 넓어도 그 땅위에 사는 이들의 수가 적으면 작은 나라요, 그 땅에 사는 사람들의 수가 많으면 큰 나라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한국은 인구 5000만 명의 적지 않은 나라다. 북한을 합치면 잘 하면 인구 1억 명에 달하는 나름 대국이 될 조건도 갖추고 있다.
다시 목숨 값이 이야기다.
옛날 돈만 아는 자린고비가 있었다. 돈이라면 무엇이든 하는 인물로 소문이 났다. 하루는 그 소문을 이웃에 사는 부옹(富翁)이 듣게 됐다.
부옹은 한자 그대로 돈 많은 노인이란 뜻이다. 오늘날 재벌 오너가라 생각하면 된다. 이 부옹이 소문을 듣고 사실을 확인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웃 자린고비를 찾아 제안을 했다.; “자네 내가 황금 1000냥을 그냥 주지. 하지만 반년뒤에는 내가 자네를 두둘켜 패 죽인다면 그 황금 1000냥을 받겠는가?”
부옹의 말을 들은 자린고비가 짐짓 심각한 듯 반나절 이상을 고민했다. 그리고 마침내 결심이 선 듯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이웃 부옹의 집으로 달려갔다.
한걸음 부옹의 집에 도착한 자린고비가 말했다.: “어르신, 정말 좋은 제안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지만 목숨을 버리긴 그렇고. 이건 어떻습니까?”
역시 그럴줄 알았다는 듯 부옹이 고개를 돌리자, 자린고비가 서두르며 힘을 줘 말했다.:“이렇게 하시죠. 제가 황금 500냥만 받겠습니다. 저를 반쯤만 죽여주시면 어떠십니까?”
자린고비의 말을 들은 부옹이 할 말을 잃었다.
참 어려운 게 돈이다. 그런데 돈이란 게 이치를 숫자화 한 것이라 생각하면 오히려 쉽다. 벽돌이 하나라도 부족하면 집을 제대로 못짓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집을 아예 짓지 않은 것보다는 나을 수 있다. 돈을 아는 것은 결국 돈을 통해 손에 넣을 물건의 가치를 아는 일이다. 그래야 돈을 제대로 모아 제대로 쓸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