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절반만 죽으면 어떨까요?

절반만 죽자.

 

목숨 값이 얼마인지 누가 싶게 결정할 수 있을까? 그래서 예로부터 목숨을 거는 최선의 일로나라를 위한 일을 꼽았다.

여기서 나라하니까, 추상적이지 간단히 보면 많은 남을 위한 것이라는 의미다. 본래 나라라는 게 그 속의 수백만, 수천만의 사람들을 의미한 것이기 때문이다.

땅이 아무리 넓어도 그 땅위에 사는 이들의 수가 적으면 작은 나라요, 그 땅에 사는 사람들의 수가 많으면 큰 나라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한국은 인구 5000만 명의 적지 않은 나라다. 북한을 합치면 잘 하면 인구 1억 명에 달하는 나름 대국이 될 조건도 갖추고 있다.

 

다시 목숨 값이 이야기다.

옛날 돈만 아는 자린고비가 있었다. 돈이라면 무엇이든 하는 인물로 소문이 났다. 하루는 그 소문을 이웃에 사는 부옹(富翁)이 듣게 됐다.

부옹은 한자 그대로 돈 많은 노인이란 뜻이다. 오늘날 재벌 오너가라 생각하면 된다. 이 부옹이 소문을 듣고 사실을 확인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웃 자린고비를 찾아 제안을 했다.; “자네 내가 황금 1000냥을 그냥 주지. 하지만 반년뒤에는 내가 자네를 두둘켜 패 죽인다면 그 황금 1000냥을 받겠는가?”

부옹의 말을 들은 자린고비가 짐짓 심각한 듯 반나절 이상을 고민했다. 그리고 마침내 결심이 선 듯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이웃 부옹의 집으로 달려갔다.

한걸음 부옹의 집에 도착한 자린고비가 말했다.: “어르신, 정말 좋은 제안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지만 목숨을 버리긴 그렇고. 이건 어떻습니까?”

 

역시 그럴줄 알았다는 듯 부옹이 고개를 돌리자, 자린고비가 서두르며 힘을 줘 말했다.:“이렇게 하시죠. 제가 황금 500냥만 받겠습니다. 저를 반쯤만 죽여주시면 어떠십니까?”

자린고비의 말을 들은 부옹이 할 말을 잃었다.

 

참 어려운 게 돈이다. 그런데 돈이란 게 이치를 숫자화 한 것이라 생각하면 오히려 쉽다. 벽돌이 하나라도 부족하면 집을 제대로 못짓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집을 아예 짓지 않은 것보다는 나을 수 있다. 돈을 아는 것은 결국 돈을 통해 손에 넣을 물건의 가치를 아는 일이다. 그래야 돈을 제대로 모아 제대로 쓸 수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