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민간기업 심포지엄에 참석한 기업가들 하나 하나가 글로벌 시장이 주목하는 인물들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스타는 단연 마윈이었다.
관련 뉴스가 이미 심포지엄 사흘 전 로이터를 통해 나왔을 정도다. 마윈의 심포지엄 참가 소식이 전해지자, 해당 소식은 인터넷에서 빠르게 입소문을 탔다, '마윈 사망'이 SNS에서 화제가 됐고, 알리의 주가도 급등했다.
마윈의 위기는 지난 202년 11월 온라인 결재부분에서 사업성을 인정 받은 앤트그룹의 상하이와 홍콩에 동시 상장 계획을 추진하면서였다. 성공할 경우 세계 최대 규모의 IPO가 될 약 340억 달러를 조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2020년 10월 상하이에서 열린 분드 파이낸스 서밋에서 잭 마는 중국의 금융 규제 시스템에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며 전통적인 은행들이 "전당포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며 혁신에 대한 규제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규제 당국을 화나게 하는 주된 원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시진핑 국가주석이 마윈의 세간의 이목을 끈 비판에 불만을 갖고 직접 앤트뱅크의 상장 중단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앤트의 상장이 종료된 후, 규제 당국에 의해 삭제되었다. 2023년 1월, 앤트는 지분 구조를 조정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잭 마는 더 이상 실질적 통제권을 갖지 않았다. 반년 후, 개미는 70억 위안이 넘는 벌금을 물었다.
그 이후로 마윈은 해외를 피하고 일본에서 오랫동안 살았으며 가끔 태국에 모습을 드러냈는데, 그 동안 그는 1년 이상 중국 땅에 공개적으로 발을 디디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잭 마의 해외 탈출은 중국 민간 기업들의 운명 역전의 상징이 됐다. 중국 당국은 최근 숙청을 완화하고 있으며 민간 부문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마 총통의 해외 체류 결정이 당국에 대한 불신이 내재된 것이었다. 최소한 기업가들은 그렇게 봤다.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리창(李强) 중국 총리가 이 사실을 깨달은 후 중국 기업가들의 자신감과 당국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마 윈 총통에게 중국 귀국을 요청했다고 한다.
실제 로이터는 베이징 윈이 자산관리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장쯔화(張志華華)의 말을 인용해 마 회장의 복귀가 인터넷 업계의 심리를 끌어올렸다고 보도했다. 무엇보다 이는 중국 지도부가 경제 발전에서 플랫폼 기업의 중요성을 재검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도했다.
이번에 마윈은 다시 중국 당국의 이 같은 마음을 읽도록 하는 풍향계의 역할을 했다. 마윈이 중국의 최고 결정권을 지닌 회의 참석한 것이다. 로이터는 잭 마의 회의 참석 소식에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등 기술주가 이날 급등했으며, 알리의 주가는 3년래 최고치에 근접했고, 샤오미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는데, 시장에서는 이를 정책 전환의 긍정적인 신호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서던캘리포니아대학(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법학 교수인 장 후위에(Zhang Huyue)는 이번 마 회장의 세간의 이목을 끈 참여는 알리바바에 대한 규제당국의 우려가 대체로 해소됐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알리바바 업계에 대한 이전의 숙청이 마지막 단계에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룽저우 이코노믹 뉴스(Longzhou Economic News)의 바이안루(Bai Anru) 부연구국장은 "이는 중국이 중미 기술 게임에 민간기업이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중국 민영기업들의 우려는 당국이었다. 당국의 지원 때문에 성장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국영기업과는 다른 데 중국 당국은 민영기업 역시 철저한 통제 아래 두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민영기업을 키워 국영기업화 하려한다는 의구심마저 팽배했다.
소위 ‘민영기업의 3가지 두려움’이 그 것이다. 즉 국유자산이 민간기업을 잡아먹는 것, 자의적인 규제, 불공정한 대우에 대한 두려움이다.
이러한 민영기업의 태도는 중국을 ‘국가는 발전하지만 국민은 후퇴한다’는 인식이 사회 곳곳에 스며들도록 만들었다. 미국이 가난한 나라의 부자국민이 문제라면 중국은 정반대로 부자 나라의 가난한 국민들이 문제라는 것이다.
우려는 근거없는 두려움이 아니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국유 자본은 엔젤 투자, 금융 및 2차 시장을 통해 우량 민간 기업에 투자했다. 지난 2018년 한 해에만 SASAC, 현지 SASAC 및 중앙 기관을 포함한 ‘국유 자산’이 20개 이상의 A주 상장 기업에 대한 통제 거래에 참여하거나 경영 거래를 완료했다.
선전메트로는 반케Vanke의 최대 주주가 되었으며 허페이의 국영자산은 NIO 전기 자동차의 지분을 인수했다.
여기에 지난 5년간 중국 당국은 부동산산업, 교육훈련산업, 게임산업, 플랫폼경제, 인터넷금융산업에서 끊임없는 개혁과 개혁을 단행해 매번 업계에 큰 타격을 입혔다.
제도적으로도 국영기업은 대출, 보조금 및 산업 접근성 측면에서 자연적 이점을 누리고 있다. 오랫동안 국영기업은 이윤이 민간기업만큼 좋지 않을 때 민간기업보다 훨씬 낮은 자금조달 비용을 누릴 수 있었다.
특히 경기 침체기에는 은행들이 민간자본을 '대출하는 것을 꺼려'하지만, 다수의 국유기업과 심지어 도시투자기업에는 주택대출을 해줄 용의가 있다.
물론 당국의 제스처는 있었다. 지난 민간기업 관련 심포지엄에서 시진핑 주석은 민간기업의 이익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회의 후 28개의 구체적인 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 한 문제는 회의 후에 감소하지 않고 증가했다.
이번 회의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 민영기업들의 진정한 신뢰는 시간을 두고 쌓여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아시아센터의 장 피에르 카베스탕(Jean-Pierre Cabestan) 연구원 역시 이 같은 포인트를 지적했다. 그는 현재 경제성장 둔화의 주요 장애물과 중국의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구조적 제약으로 국영기업과 공공부문에 대한 과도한 압박, 지역 보호주의, 강력한 독점의 존재 등을 꼽으며 민영기업들에 대한 제도적 차별의 해소 여부는 시장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의의 상징성 못지 않게 회의의 결과에 대한 ‘시장 속 실현’이 중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