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16세~24세 실업률이 하락했다. 중국의 고질병으로 지적돼 온 대졸자 실업률도 통계상으로는 일단 안정을 되찾고 있다는 게 중국 당국 입장이다.
중국 매체들에 다르면 국가통계국 최근 3월 연령대별 실업률 통계 데이터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3월, 전국 도시지역 재학생을 제외한 16-24세 노동력 실업률은 16.5%를 기록해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재학생을 제외한 25-29세 노동력 실업률은 7.2%로,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으며, 30~59세 노동력 실업률은 4.1%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낮아졌다.
1분기 전국 도시지역의 조사 실업률 평균치는 5.3%였다.3월 전국 도시조사 실업률은 5.2%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이 중 지역 내 호적을 가진 노동력의 실업률은 5.3%였고, 외지 호적 노동력의 실업률은 4.9%였으며, 그중 외지 농촌 호적 노동력의 실업률은 5.0%였다. 31개 대도시의 도시조사 실업률은 5.2%였다. 전국 기업 취업자의 주 평균 근로시간은 48.5시간이었다. 1분기 말 기준, 농촌 지역에서 외지로 출근하는 노동력 총수는 1억 8,795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국가통계국 인구 및 고용통계사 사장 왕핑핑은 “1월 전국 도시조사 실업률은 5.2%로, 겨울철 농업·건설업 등의 계절적 고용 감소 영향으로 실업률이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또 2월은 춘절 연휴가 겹치며 기업의 고용 수요가 줄어 실업률이 5.4%까지 상승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3월들어서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다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3월에는 연휴 이후 각 업종의 고용이 점차 회복되고 노동시장의 활력이 높아지며 실업률이 5.2%로 하락했고, 전월 대비 0.2%포인트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와는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역 내 호적을 가진 노동력의 고용 회복세가 더 뚜렷해, 실업률이 전월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고 강조했다.
월별로 살펴보면, 1~3월 31개 대도시의 도시조사 실업률은 각각 5.1%, 5.2%, 5.2%로, 전국 평균보다 각각 0.1%포인트 낮고, 0.2%포인트 낮으며, 3월은 동일한 수준이었다.
1분기 외지 호적 노동력의 실업률 평균치는 4.9%였다.1~2월에는 춘절 등 계절적 요인의 영향으로 외지 호적 노동력의 실업률이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3월 들어 기온이 오르고 춘절 영향이 사라지면서 기업의 생산 및 경영 활동이 질서 있게 재개되었고, 농민공을 다수 흡수하는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등의 고용이 증가하면서 해당 계층의 고용 상황이 개선되었다. 3월 외지 호적 노동력 실업률은 4.9%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고, 전년 동기 대비 0.2%포인트 낮아졌다. 그중 외지 농촌 호적 노동력의 실업률은 5.0%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으며, 전년 동기와는 동일했다.
업종별로는, 대규모 장비 교체 및 소비재 교체 정책의 확대 시행으로 1분기 제조업 고용이 회복세를 이어가며 고용 인원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일부 서비스 업종에서도 고용이 활발했으며, 숙박·요식업, 가사 서비스, 문화·체육·오락 업종의 종사자 수가 전년 대비 증가해 주요 계층의 고용 안정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제공했다.
2023년 12월부터, 국가통계국은 연령대별 실업률 통계 방식을 조정·개선하여, 재학생을 제외한 16-24세, 25-29세, 30-59세 노동력 실업률을 발표해오고 있다. 국가통계국은 “재학생을 제외한 1624세 청년층 실업률을 발표함으로써, 사회에 진출하여 실제로 구직이 필요한 청년의 고용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동시에 25~29세 청년층 실업률을 함께 발표함으로써 졸업 이후 안정된 직장을 얻기까지의 전반적인 취업 상황을 더욱 완전하게 반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