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은은히 깊게 향기 나는 사람 인(人) 9

蘭香細而幽(lán xiāng xì ér yōu), 난향이 은은히 깊다. 송 시인 서기(徐璣)의 말이다. 사람의 향은 난향과 같다. 깊고 은은하다. 

 

 

수양한 사람의 향을 흔히 난향에 비유한다. 그 특성이 같기 때문이다. 코를 자극하지 않지만 은은히 오래간다.
위인과 주인의 노력으로 크게 쓰인 사람의 향이다. 초두 변에 사람 인자를 쓴 한자를 상상해 본다. 꽃다울 방(芳) 자의 변형인 셈이다. 향기 나는 사람 인이다. 욕망에 지지 않고 열심히 산 사람이다. 
블루, 레드, 화이트라는 제목의 영화가 있었다. 1993년 이후 폴란드 출신의 감독 키에슬로프스키가 내놓은 영화다. 프랑스 국기가 상징하는 색으로 자유, 평등, 박애를 주제로 했다. 개인적으로 인간들이 관계를 세 가지 색으로 강조한 것이 아닌가 싶다.
근 20년이 넘었지만 기억에 남는 것은 장면이 있다. 세 영화 모두에 길거리 쓰레기통에 병을 버리는 노인네의 모습이 등장한다. 할머니였다 싶다.  길을 가던 허리가 굽은 할머니가 자신의 머리 위에 있는 쓰레기통에 애써 병을 버린다. 손이 닿지 않아 겨우 애써 병을 버린다. 그냥 길에 두고 갈 법도 한 데 꼭 쓰레기통에 넣는다. 너무 애쓰는 모습에 보는 이의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도대체 저 노인은 무엇 때문에 그리 애를 쓰는가? 답은 하나다. 늙어 보니 아는 것이다. 세상을 살아 보니 아는 것이다. 애정이다. 세상을 위해 병 하나라도 쓰레기를 치우려는 마음이다. 
영화의 스토리와는 전혀 상관없는 이 장면은 3가지 색의 영화에서 공통적으로 되풀이되면서 묘한 감동을 준다. 
향기 나는 인생이란 꼭 큰 성과를 내야 하는 게 아니다. 하나의 가치관을 잃지 않고 산 인생이다. 힘들게 길에서 주은 빈 병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이름 없는 할머니의 모습에 바로 인생의 향기가 묻어난다.
한 중국 학자가 있었다. 평생 죽는 순간까지 한 가지에 연구에만 몰두했다. 홍루몽의 대가 저우니창(周汝昌) 선생이다. 지난 2012년 5월 31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저우 선생에 대한 추모 기사로 중국의 한 잡지는 잘 보이지 않는 눈으로 원고를 읽고 쓰기 위해 원고에 얼굴을 원고에 묻고 만년필을 잡고 있는 모습의 사진을 게재했다. 정말 최후의 순간까지 책 읽기를 그치지 않았던 것이다. 
평생을 해온 하나의 실천이 인생을 향기롭게 한다. 난 
얼마나 향기로운 삶을 살았을까? 답은 이 세상 다 살고 나면 나올 것이다. 그게 그냥 삶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