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욕망에 충실하라 … 침 흘릴 활(活) 1

세상의 모든 수양이 욕망에 맞서 억제하라는 것이다. 그런데 유독 한자만 다르다. 욕망에 진정으로 충실하라고 가르친다. 욕망에 충실해야 인간이고, 욕망에 충실해야 그 욕망을 제대로 다스릴 수 있다는 것이다. 물에 들어가지 않고 수영을 배울 수 없는 이치와 같다. 욕망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욕망이라는 게 무엇일까? 이 질문은 삶이란 무엇일까?에 가장 닿아 있는 것이다. 

 

​“삶이란 정말 무엇인가”  

 

 

이처럼 오래됐지만 항상 새로운 화두도 없다“어떻게무엇을 위해 살아가야 하는가?"라는 것은 종교철학의 가장 근본적 고민이었다동양의 공자맹자 등은 물론이고 서양의 플라톤소크라테스 이래 종교철학자들 고민의 중심에는 '삶이란 무엇이냐'의 문제가 존재했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많은 사람들이 각자 특색 있는 답을 남겼다일부의 답은 두고두고 후인들의 존경을 받기도 했다그러나 그 수많은 고민과 답들의 공통점은 인간적 욕망에 대한 극적인 제약이다. 대부분 종교가 성직자들에게 인간적 생을 포기하도록 하듯 말이다. 그러나 한자에서 삶에 대한 해답은 그 출발은 역시 욕망이지만 방향은 완전히 상반된다. 다른 모든 한자가 그렇듯 참 단순 명쾌하고 인간적이다. 
살 활(活) 자가 그 고민을 잘 보여준다. 혀舌에 침이 고여 있는 모습이다. 혀가 마르면 삶의 반대가 된다. 병이 든 모습이고, 죽어가는 모습이다. 사실 갑골문의 모습이 현재의 활 자보다 복잡하다. 강 변의 웅덩이에 나무가 자라는 모습이라고 할까?

 

 

 

 

 

 

혀 설 부분만 따로 살피면 아예 화분 위에 있는 나무의 모습이다. 잎에 물기가 촉촉이 젖어 생기가 영롱한 모습이다.

 

 

 

참으로 한자를 만든 선인들의 사무사(思無邪) 한 순수함에는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지 않나 싶다살 활() "살아 있다"라는 것은 "혀에 침이 도는 것"이라 말, 단순하면서도 깊이가 있다사무사한 표현이다 싶어 나도 모르게 무릎을 치게 된다
사무사란 공자가 시경을 평한 말이다. 시경의 시들이 순수한 욕망을 적나라하게 그렸다는 칭찬이다. 사실 이 공자의 말씀을 이해하면 한자가 전하는 "삶이란 무엇인가"를 이해할 수 있다.
사무사란 게 무엇인가? 사람은 먹어야 살고, 살면 똥을 싸야 한다.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 동물의 발정기처럼 사람은 일정 나이가 되면 이성을 그리게 되고, 그래야 종족을 보존한다. 더 좋은 종족으로 만들기 위해 남자는 예쁜 여자를 좋아하고, 여자는 멋진 남자를 좋아한다.
하지만 사람이 스스로 욕망이 복잡해지면서 그 멋지다는 것 역시 복잡해진다. 좋아한다는 것 역시 복잡해진다. 멋지다는 게 누구에게는 외모고, 누구에게는 그가 가진 것이다. 누구에게는 그 사람 자체다.  좋아하다는 게 누구는 매 순간 다르고, 누구는 죽는 순간까지 변하지 않는다. 
노래 가사도 그렇다. 아재들은 요즘 유행 가사를 유치하다 하지만 젊은이들에게는 그저 좋기만 하다. 감정이 순수한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좋다고 한 게 바로 공자다. 공자의 사무사에 개념은 한마디로 감정이 순순한 게 좋다는 것이다.
다음 시경의 시를 보면 이해가 된다. 솔직히 요즘 가사 못지않게 유치하다. 

 

 

​“요아(蓼莪) 애애부모(哀哀父母) 생아구로(生我劬勞)”  

 

 

아아 애달프다. 우리 부모님 
나를 낳아 기르시기에 얼마나 고생하셨을까. 

 

 

부모님의 정을 감사하는 데 이보다 나은 말이 있을까? 다른 비유도 없다. 그냥 돌직구다. 나는 다르다고 생각하면서 문제가 복잡해진다. 아무리 달라지려 해도 본질이 같은데 어찌 달라질까? 여기서 노자의 말씀이 다시 생각난다. "성현이라는 작자들이 나오고 나서야 우매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다시 삶이 무엇인지 살 활(活)를 살펴볼 차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