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그랜드슬램 대회 동메달 여자 컬링팀, 평창 올림픽 메달 도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사상  메달을 노리는 한국 여자컬링 대표팀의 기세가 매섭다. 현재 최강 전력의 팀을 꺾고 그랜드슬램 대회 4강에 올랐다. 비록 아쉽게 결승진출에는 실패했으나 동메달도 고무적인 결과다. 

김민정 감독이 지휘봉을 잡고 김은정 스킵이 이끄는 여자 컬링대표팀이 21일(한국시간) 오후 캐나다 앨버타주 캠로즈에서 열린 메리디안 캐나다 오픈 그랜드슬램 오브 컬링 플레이오프 4강에서 캐나다의 첼시 케리 팀에 4-6으로 패했다. 
기대했던 결승 진출은 달성하지 못했으나 그래도 의미 있는 이정표를 세웠다. 대회 개막 후 2연패로 불안한 행보를 보였던 한국은 이후 분위기 반전에 성공, 연승으로 승승장구했다. 특히 최강 전력의 팀, 궁극적으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한국이 극복해야 할 캐나다 레이철 호먼 팀을 꺾은 것은 큰 성과다. 한국은 이날 오전에 펼쳐진 8강전에서 호먼 팀을 만나 7-4로 승리했다. 호먼 팀은 지난해 세계선수권에서 13전 전승으로 정상에 오른 팀으로, 한국이 평창 올림픽 첫 경기에서 만나는 팀이기도 하다. 두 팀의 대결은 오는 2월15일 오전 강릉컬링센터에서 펼쳐진다. 
전초전 성격이 강했던 이번 대회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둔 한국은 사상  올림픽 메달이라는 목표에   자신감을 갖게 됐다.

 

  

 

기자 윤진희 출처 news1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