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굿바이 평창’ ...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

 

폐막식을 끝으로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열전이 마무리됐다. 25일 강원 평창의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진행된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의 선수단 입장은 개회식과 사뭇 달랐다. 국가별로 차례로 입장했던 개회식과 달리 각 국가 별 기수들이 먼저 어우러져 나왔다.
이번에는 남북 공동 기수는 없었다. 한국의 기수로는 스피드스케이팅 간판 이승훈, 북한의 기수로는 피겨스케이팅의 김주식이 나왔다. 한반도기는 자원봉사자가 들었다. 윤성빈, 이상화 등 선수단은 관중의 뜨거운 함성 속에 마지막 순서인 92번째로 등장했다. 선수단 등장에서 가장 큰 박수와 함성이 쏟아진 순간이었다. 메달리스트는 자신이 딴 메달을 목에 걸고 나왔으며 선수들은 자유롭게 사진을 찍고 춤을 추며 축제를 즐겼다.
올림픽기는 다음 개최도시인 중국 베이징시로 넘겨졌다. 천지닝 베이징 시장은 바흐 IOC 위원장으로부터 올림픽기를 전달받았다. 이와 함께 폐회식 중에 중국을 위한 시간이 마련됐다.    이날 연출을 맡은 장이머우 감독은 짧은 시간 동안 중국의 전통과 미래를 보였다. 24번째 동계올림픽을 기념해 24명의 스케이터가 무대에 등장했다. 이들은 2개 조로 나뉘었는데 각 조의 리더는 판다의 형상을 갖춘 채 무대를 자유로이 누볐다.

폐회식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맏딸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윤진희 기자

출처 = news1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