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은 달랐다.

시진핑习近平 주석은 이번 양회를 통해 국가 주석 임기 10년 제한을 없앴다. 과거 중국 국가 주석은 한번 연임만 가능했지만 시 주석은 이제 원하는 순간까지 재임이 가능해진 것이다.

과연 이 같은 조치가 앞으로 중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중국 안팎 중화권은 물론 서방 국가들의 주요 관심사다. 중국의 변화를 지켜보고는 새로운 이유이기도 하다. 가장 많은 이들이 우려하는 것이 시 주석에 대한 1인 우상화다.
실제 당장 적지 않은 부분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에 서버를 둔 둬웨이多维는 당장 시 주석 연임에 대한 중국 1호 신문 '런민르바오'人民日报의 보도 태도를 과거 사례와 비교했다. 과연 확연히 달랐다.
먼저 이번 시진핑 주석의 연임 관련 런민르바오 최근호의 보도다. 


전면이 시 주석에 대한 이야기다. 얼굴 증명사진과 함께 이번 양회를 통해 처음 도입된 헌법 선서 모습도 실렸다.
그럼 후진타오胡锦涛 전 주석과 그 직전의 장쩌민张泽民 전 주석의 사례는 어떨까? 



이 기사를 통해 얼마나 런민르바오 편집 양식이 과거 전례를 따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후진타오 전 주석의 연임 때 런민르바오의 편집은 장쩌민 전 주석 때와 싱크로율 100%다. 연임된 주석 사진과 함께 새로 주목되는 부주석 사진이 같이 실렸다. 그만큼 차기 지도자에 대한 예우도 갖췄다는 의미다. 물론 이번 양회에서는 과거와 같이 대를 넘어 후계자를 지목하는 관례가 깨졌다. 후계자가 없는 만큼 시진핑 주석은 한 차례 더 연임을 할 것이고, 런민르바오 지면에서 받는 대접도 남다른 것이다.

그러나 과연 이 같은 현상이 이 정도 수준에서 끝날까? 정말 서방이 우려하는 시진핑 주석 1인 우상화 현상이 없을까? 정말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기사 = 박선호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