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예에서 주인으로 민 民 1

 

참 슬픈 역사의 주인공이 민民, 백성이다. 노예에서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의미했고, 이제 역사의 주인이 됐다.
 

    

 © ajaegers, 출처 Unsplash

 

‘민주’ 
뜨거웠던 청춘 대학시절 이 말을 듣고 가슴 띄지 않았던 이 있으랴. 특히 한국 민주화 시대 80년대 대학시절을 보낸 이들이라면 예외가 없을 듯싶다. 뛰는 가슴 안고 살아가는 청춘들의 열망이었다.
민주, 쉽게 '백성이 주인 된다'라는 의미다. 그런데 그게 그렇게 어려웠고, 아직도 진정한 민주가 완성됐는지, 의문부호가 찍힌다.
사실 민주라는 말이 어떻게 연변 했는지 알면 그 어려운 이유를 새롭게 체감할 수 있다.
갑골자에서 민자는 노예를 의미하는 자였다.  

 

 

 

 

갑골자에서 민자는 사람의 눈을 날카로운 침으로 찌르는 모양이다. 눈이 멀어 피가 흘러내리는 모습이 바로 백성 민이다. 피눈물을 흘리는 게 백성 민이다. 참 무서운 글자다. 

눈을 찌른 이유는 시력을 빼앗기 위해서다. 실명이 아니고, 눈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옛날 이웃 마을과 전쟁을 해 부락민을 노예로 잡으면 했던 일이다. 노예들이 일은 하지만, 전투력을 상실하도록 하기 위해 한 조치다. 
시력을 상실하면 스스로 구속되길 자청한다. 주변에 의존을 해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자연스러운 순종의 시작이다. 
백성 민은 이런 노예를 의미한 것이었다.
그런 노예가 어찌 백성이 되고 시대의 주인이 됐을까? 거기에는 정말 무한한 피눈물의 역사가 담겨 있다.

© bmowinkel, 출처 Unsplash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