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소 생산 단위 집 가 家 2.

가족은 타인의 시작이요, 혈연의 시작이다. 사회를 만들어가는 세포다.

  © pixel2013, 출처 Pixabay

 

가끔 한자를 만든 선인들은 참 이성적이다 싶다. 어쩌면 그렇게 냉혹하게 불필요한 개념의 가지를 쳐내고, 단순화 추상화를 할 수 있을까 싶다. 집 가 자 역시 마찬가지다. 
갑골문자를 만든 선인들에게 가족은 어떤 개념이었을까?
갑골문 집 가 자 자형만 봐도 그 이유는 대단히 명확하다. 누가 봐도 지붕 아래 동물, 돼지가 있는 모양이다. 어떻게 돼지인 것을 알까? 

 

 

 

여기에 재미있는 팁이 하나 있다. 갑골문자는 몇 개의 선만으로도 동물들을 정확하기 구분해 냈다. 예컨대 코끼리, 토끼, 호랑이, 거북이 등은 세 살배기 영아가 봐도 코끼리요, 토끼요, 거북이다. 또 새도 그렇다. 
그런데 개와 돼지는 어떻게 구분을 했을까? 물론 오늘날에 와서는 쉽게 구분되는 자도 있다. 돼지 시(豕) 자와 개 견(犬) 자이다. 그런데 과거 갑골문자 시절 둘은 어떻게 구분했을까? 모두 네발 달린 집 짐승이다. 꼬리가 비밀이다. 갑골사에서 돼지는 꼬리가 내려가고, 개는 꼬리를 올려 표시했다. '꼬리 내려간 개도 있는데?' 하는 이도 있겠지만, 그 건 계란 속에 뼈를 찾는 짓이다.
어쨌든 집 가 속의 동물은 갑골사에서 분명히 개가 아니라 돼지다. 
무슨 의미일까? 지붕 아래 사람이 사는 게 집이 아니라, 돼지가 사는 게 집이라니? 가볍게 생각해도 지붕 아래 사람인(人) 자를 쓰면 사람 사는 집이요, 돼지를 쓰면 되지 우리다. 양을 쓰면 축사다. 얼마나 집에 대한 표현이 다양하고 좋은가?
정말 그럴까? 개인적으로 볼 때 갑골자 집 가의 의미에는 돼지 한 마리를 키울 수 있는 집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즉 한 지붕 아래에서 서로 먹고 살 거리를 해결한 집단이라는 의미다. 한 무리가 몇인지는 몰라도 되지 한 마리를 키우며 먹고 살 능력을 갖춘 것이다. 어떤 무리는 잘 살고, 어떤 무리는 못 살지만, 어쨌든 경제적으로 자립한 첫 독립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묘하게 동서양의 사고가 비슷한 면을 보인다.

  

 

  

 

 

 

 

 

© marvelmozhko, 출처 Pixabay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