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트럭 운전기사 대규모 파업 중 "생존권 보장해 달라"

중국 전역에서 트럭 운전기사들의 파업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 인권사이트인 웨이췐왕(维权网)은 10일 중국 전역에서 트럭 운전사들이 자신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총동맹 파업을 시작했다고 알렸다. 

웨이췐왕에 따르면 중국 트럭 운전기사들은 지난 8일부터 정부의 마구잡이식 벌금부과와 도로통행요금 및 디젤가격 급등에 항의하며 국도와 고속도로, 주차장 등에 트럭을 세워두고 파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교통 공안이나 도로행정 당국이 적재중량 초과 행위에 대해 강력한 벌금 처분에 나선 것이 가장 큰 반발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트럭이 공장에서 출고되면 적재 중량을 늘리기 위해 차량 개조를 하는데, 이 때 적재중량을 늘리지 않으면 트럭 운전기사들이 손실을 보게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중국 트럭 운전기사들은 자신들이 가혹한 대우를 받고 있아며 생존권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트럭 운전기사들은 현재 산둥(山东), 상하이(上海), 후베이(湖北), 안후이(安徽), 충칭(重庆), 구이저우(贵州) 등 중국 전역에서 파업을 벌이고 있으며, 중국 내 3천만 트럭 운전기사들에게 파업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둬웨이(多維) 등 중화권 매체들은 파업이 전국으로 확산됨에 따라 중국 정부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이동경 기자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