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선생님, 숙제가 다 불탔어요!

지난 8월 26일, 북경의 경진고속도로에서 한 대의 버스에서 짙은 연기가 솟구칩니다. 버스 안에는 총 43명의 학생들이 타고 있었는데 시험을 보고 학교로 돌아가던 길에 버스에서 별안간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대부분의 물건이 불에 타 없어졌는데요. 그 와중에 한 학생이 영상 속에서 “선생님, 숙제가 하기 싫은 것은 아니지만 불에 타버렸어요”라고 말해 네티즌들의 다양한 반응을 자아냈습니다.  

 

 

 

 

 

 

 

 

 

 

 

 

출처 : weibo웨이보

영상 출처 : http://t.cn/RkgxQAO?m=4277404106806454&u=6124642021

 

 

 

 

선생님 : 애들아, 선생님은 너희를 믿어, 숙제는 메일로 부모님께 보내드렸어~ 

 

 

숙제 : 아직 저는 구해질 수 있을 것 같아요! 소방대원 : “금방 구해 줄게!!”ㅋㅋㅋㅋ

 

 

선생님 : 좀 늦게 내도 되! 선생님은 하나도 안 급하단다. 

 

 

엄청 심각하네…. 사람 안 다쳐서 정말 다행이다

 

이처럼 대부분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할 말을 웃기게 표현하고 학생들이 다치지 않아서 정말 다행이라는 반응이었습니다. 이런 큰 화제 속 인명피해가 없어 정말 다행입니다. 이상 해동이었습니다. (글=이원석)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