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1회 한중 우호마라톤 강원도 양양군에서 개최

사진 출처:인민망

 

단풍이 한창인 가을철, 첫 한중 우호마라톤이 21일 강원도 양양군에서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열렸다. 양국에서 온 마라톤 동호인이 양양에서 함께 모여, 1회 한중 우호마라톤의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함께 보여주었다.

1회 한중 우호마라톤은 인민일보 한국지사와 강원도 및 양양군청이 공동 주최하여 경기 외에 한중 마라톤 동호인을 위한 민간 스포츠 교류의 장으로도 자리매김했다.

김진하 양양군 군수는 개회식에서 한중 양국의 언론인 및 마라톤 동호인들에게 열렬한 환영의 뜻을 표하였으며, 이 자리에서 그는 아름다운 가을 10월에, 여러분과 중국친구들이 양양에서 아름다운 추억을 남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고제철 양양군의회 의장은 인사말에서 참가자들이 양양 제1경인 남대천 둔치를 즐길 수 있다고 말했다. 남대천은 연어의 고향으로 마치 한 폭의 수채화처럼 아름답기 그지없다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탕웨이훙(唐维红) 인민일보 부총재도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그녀는 한중 우호마라톤을 통해서 더 많은 한중 양국 국민을 하나로 묶고 서로를 이해하고 친구로 지내며 스포츠를 즐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번 한중 우호마라톤이 순조롭게 출발함으로써 한중 국민의 우호증진과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회는 하프코스 마라톤, 10km 그리고 5km 세 종목으로 나뉘어져있다. 참가자들은 강원도 양양군 동부의 해안도로 코스에서 푸른 바다와 맑은 하늘 그리고 붉은 단풍 사이로 달리는 즐거움을 만끽했다.

남자 하프코스에서는 장승연 선수가, 여자부에서는 유승화 선수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마성민 선수와 한정연 선수는 각각 10km 코스 남녀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판웨이(范炜) 선수와 정친(郑琴) 선수가 각각 5km 코스 남녀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중국 대표 정친 선수는 "경기 전의 몸 풀기는 특히 역동적이고 한국적인 특색을 갖추고 있어서 인상적이었다"고 말하였으며, 한국 대표 이유정 선수는 처음으로 중국 친구들과 함께 뛰게 돼 기쁠 뿐 만 아니라 대회가 순조롭게 잘 마무리되어서 만족한다고 말하였다. 중국 인민일보 웹사이트 1021일 보도(기자 이미옥)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