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하이 상강, 中슈퍼리그 첫 우승...광저우 독주 저지

사진 출처: 소후뉴스

 

상하이 상강이 중국 슈퍼리그(1)에서 창단 첫 우승의 기쁨을 맛봤다. 특히 광저우 에버그란데의 독주를 저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포르투갈 출신 비토르 페레이라 감독이 이끄는 상하이 상강은 7일 저녁 중국 상하이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중국 슈퍼리그(CSL) 29라운드 베이징 런허와 홈경기에서 아흐메도프, 우레이의 득점포에 힘입어 2-1 승리를 거뒀다.

 

이날 승리로 상하이는 승점 68점을 기록하며 2위 광저우 에버그란데(승점 60)를 따돌리고 창단 첫 우승의 기쁨을 맛봤다.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지난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 무대를 정복하며 리그 7연패를 기록했던 광저우 에버그란데는 충칭 리판에 0-2로 패배하며 8연패의 꿈의 무산됐고, 상하이 무려 8년 만에 새로운 우승팀으로 올라섰다.

 

광저우는 세계적인 수비수 출신 파비오 칸나바로 감독을 데려오며 8연패를 노렸지만 실패했고,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무대에서도 조기 탈락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상하이 상강의 우승은 저절로 이뤄진 것이 아니었다. 모기업의 막대한 투자와 함께 오스카, 헐크, 엘케손 등 확실한 외국인 선수들을 데려오며 광저우의 독주를 끝내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결과적으로 상하이는 우레이(278도움), 헐크(1312도움), 오스카(1218도움) 등이 좋은 활약을 펼치며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우레이는 득점왕을 사실상 예약했고, 오스카도 도움왕에 근접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