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쉽게 읽는 '루쉰 문학선·잡문선'…24일 학술대회도

사진 출처: 엑스북스

 

중국의 대문호 루쉰(魯迅, 18811936)의 대표작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선집이 나왔다. '루쉰 문학선''루쉰 잡문선'(엑스북스).

 

루쉰 저작을 집대성한 전집(20)을 지난 5월 완역 출간한 루쉰전집번역위원회가 독자들을 루쉰에게 안내하는 '쉬운 지름길'로 소설, 산문과 잡문 중 정수를 추려 선집으로 엮었다. 소설과 산문시 37, 잡문 95편이 두 권의 책으로 묶였다.

 

위원회는 책머리에 "루쉰작품에 입문하는 독자들을 위해 최대한 간략한 선집을 내기로 하였다. 루쉰의 글 가운데에서 장르와 시기, 저술 배경을 고려하면서 루쉰의 삶과 사상, 문학을 이해하는 데에 꼭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글들을 뽑아 엮었다. 이 글들을 여러 번 곰곰이 되씹으면서 음미하노라면 어둠과 절망에 반항했던 루쉰의 참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문학선에는 중국 현대소설의 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광인일기'와 널리 알려진 'Q정전'을 비롯해 '고향', '고독자', '복수', '희망', '이러한 전사' 등이 담겼다.

 

잡문선에는 비평, 평론, 토론, 광고, 편지 등 다양한 글을 쓴 루쉰의 잡문들이 담겼다. 루쉰은 자신을 '잡감가'로 부르면서 자신의 글을 겸손하게 낮췄다.

 

연구자들은 "잡문은 루쉰의 육체 그 자체"라고 정의하며 그의 글에서 통탄과 피눈물, 자조, 웃음 등 감정이 고스란히 배어나온다고 말한다.

 

루쉰은 무엇이 문제인지, 사람들이 어디로 잘못 가고 있는지, 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해 소리를 높인 동시에 사람들에게 군중에 휩쓸려 잘못 살지 말기를, 조식을 잘 챙기고 연인을 보살피면서 하루하루를 잘 보낼 것을 당부한다. 세상은 자신이 인식하는 만큼 우리에게 그 비밀과 놀라움을 보여주고, 무엇보다 개인이 잘 살아내지 않으면, 세상이 바뀐다 한들 개인적 차원에서는 무용하다는 것을 끊임없이 강조한다.

 

루쉰 전집 국내 완역과 함께 그의 작품을 다시 정밀하게 조명하려는 움직임이 학계에서 일고 있다. 한국중문학회(회장 김양수)는 오는 24일 동국대학교 법학관 163호에서 국제학술대회를 연다. '루쉰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동아시아의 루쉰'이라는 주제다. 한양대 공자아카데미가 후원하는 이 학술대회에서는 대만, 홍콩, 일본, 한국 등 중국 외 동아시아 지역에서 각각 루쉰이 어떻게 읽히고 다시 만들어져 왔는지 살펴본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