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9개월만에 게임 허가 재개…80개 승인

중국 규제 당국이 9개월만에 게임 허가를 재개했다.

 

 

중국 인터넷 매체 펑파이(澎湃), 시나 테크놀로지(新浪科技) 등은 중국 국가신문광전총국이 29일 웹사이트를 통해 ‘201812월 국내 온라인 게임 승인 정보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승인을 받은 게임은 모두 80개로 이번 발표에는 텐센트(텅쉰), 넷이즈(왕이) 등 중국 양대 게임사의 게임은 포함되지 않았다.

 

 

펑스신(馮士新) 중국공산당 선전부 판권국 부국장은 지난 21일 하이난성에서 열린 중국게임산업콘퍼런스(CGIGC) 총회에서 "일부 게임에 대한 심사를 완료했다""판호(版號·게임 서비스 허가권)를 서둘러 발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 당국의 신작 게임 출시 허가 소식에 게임 업계는 반색했다. 펑스신 부국장의 발언이 나온 21일 홍콩 증시에서 텐센트의 주가가 4% 올랐고, 웹젠·위메이드 등 한국 게임 업체들의 주가도 뛰었다.

 

 

지난해 3월부터 신규 판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한국 게임사들도 중국 사업을 재개할 가능성이 커졌다.

 

 

웹젠은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신작 게임을 내놓을 예정이다. 위메이드는 미르의전설’ IP 기반 사업 확장을 위해 조인트벤처를 추진 중이다. 펄어비스는 검은사막으로 중국 진출을 노리고 있다.

 

 

중국 게임 시장 규모는 약 330억달러(한화 37조원)로 세계 최대다. 중국 당국은 지난 3월 폭력성, 청소년 게임 중독 등을 이유로 신규 게임 허가를 갑자기 중단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