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멤버들의 응원 큰 힘이 돼요.” 도경수

@SM엔터테인먼트

 

그룹 엑소의 멤버 디오이자 배우 도경수의 2018년은 바빴다. 엑소의 멤버로서 본연의 활동도 게을리 하지 않았고, tvN 드라마 <백일의 낭군님>과 영화 <스윙키즈>를 마쳤다. 엑소로서 가요계에서 정점을 찍은 도경수는 이제 드라마와 영화 분야에서도 주인공으로서 당당히 이름 석 자를 걸고 있다.

 

특히 최근 개봉된 영화 <스윙키즈>에서는 북한군 포로이자 댄스단의 말썽꾸러기 로기수 역을 맡아 발군의 실력을 뽐냈다. 엑소 내에서도 타고난 춤꾼으로 정평이 난 도경수는 춤 외에 연기력으로도 손색없는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그는 "처음 도전해보는 탭탠스 장르에서는 몸치였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극 중 북한군으로 나온다. 말썽꾸러기 골목대장 느낌이다. 한국전쟁이라는 시대적 배경은 안타깝지만, 촬영할 때만큼은 실제로 댄스단 모두가 성장해 나가는 것처럼 즐겁고 재밌었다. 시간이 날 때마다 모두가 다같이 모여서 탭댄스를 연습했다. 가수로서 원래 몸을 쓰는 직업을 갖고 있었지만 처음하는 탭댄스 장르에서는 몸치였다. 엑소 때와는 박자도 다르고, 발로 바닥을 두드리는 댄스로 경험해본 적이 없었다. 그래서 5개월 동안 정말 열심히 노력했다."

 

<스윙키즈>는 복잡다단한 감정을 품은 영화다. 도경수를 포함한 댄스단의 신나는 탭댄스를 보고 있노라면 관객 역시 절로 몸이 리듬을 타게 된다. 비틀즈를 비롯해 유명 뮤지션들의 명곡들도 흥을 돋운다. 하지만 한국전쟁이라는 배경의 특성상 웃고 신나는 이야기 끝에 가슴 찡한 감동도 전한다.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있기 때문에 즐겁게 촬영하면서도 가슴 한 켠에는 안타까움이 있었다.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고 깨닫게 해준 작품이다. 하지만 촬영을 하면서 탭댄스를 출 때만큼은 실제 영화 속 인물처럼 신나게 췄다. 실제 스윙키즈처럼 춤 실력도 점점 더 늘더라. 촬영 현장은 너무나 즐거웠던 기억이 난다."

 

도경수는 <스윙키즈>에서 함께 출연한 여배우 박혜수와 키스신도 촬영했다. 로맨틱한 키스 장면은 아니었지만 키스신은 대중의 관심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사실 위험한 장면이었다. 발로 내 머리가 밟혀서 두 사람이 원하지 않는데 우연히 입맞춤을 하게 되는 신이었다. 상대 배역이 처음에는 제 뒤통수를 너무 세게 밟아서 박혜수와 입 맞출 때 이가 아팠다."

이에 대해 박혜수는 "생각보다 엄청 아팠다""극중 양판래는 그 상황에서 적당하게 불쾌감을 표현해야 했다. 근데 너무 싫어하는 것처럼 보이거나 너무 좋아하는 것처럼 보여서 여러 번 촬영을 했었다"고 후일담을 전했다. 도경수는 박혜수와의 호흡에 대해 "좋은 동생이다. 성격이 너무 밝고 쾌활하다"" 덕분에 즐겁게 촬영했던 거 같다"고 화답했다.

 

이에 앞서 도경수는 <백일의 낭군>으로 15%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거두며 드라마 시장에서도 도경수라는 이름 석 자를 크게 아로새겼다. 그는 극 중 왕세자 이율과 쓸모없는 취급을 받는 백성 원득(도경수) 역을 동시에 맡아 발군의 연기력을 뽐냈다. 이 드라마는 도경수가 도전하는 첫 사극이기도 했다.

 

"주연을 맡은 첫 드라마인데 생각했던 것보다 힘든 점이 많더라. 사극 장르도 처음이라, 개인적으로 해보지 않았던 상투나 한복을 입는 것 때문에 더워서 힘들기도 했다. 처음 해보는 경험이라 새로웠다. 그래도 엑소 멤버들이 항상 작품을 할 때마다 다같이 응원을 해줘서 큰 힘이 된다."

 

누구보다 바쁜 2018년을 보낸 도경수의 다음 행보는 어떻게 될까. 그는 2019년을 열며 오랜만에 휴가를 얻었다. 열심히 일한 사람 만이 만끽할 수 있는 꿀맛같은 시간이다. 2018년을 성공적으로 마친 그에게 주어진 상과 같다.

 

"1월에 오랜만에 휴가를 간다. 6일간 쉰다. 아직 정해진 건 없다. 그래서 뭘 해야할 지 아직모르겠다. 한국의 맛있는 집들 다녀보고 싶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