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간, 반드시 이기는 법의 비밀

진정한 시간은 나무의 나이테 속에 있다. 수 만년, 수 천 년의 세월을 견딘 바위 속에 있다. 그 시간이 주역의 역(易)의 본질이다. 역은 변화다. 문제를 보는 각기 다른 각도인 것이다.
주역이 만사의 최고인 이유는 변화의 순서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변화의 순서를 고려하면 문제 해결 가능성, 다양한 답이 나온다. 

 

현실엔 어떻게 적용이 될까?

 

시간의 변화를 고려해 답을 찾는 방법을 적은 대표적인 책이 손자병법이다. 손자병법은 한마디로 승패(勝敗)의 가능성을 다양화하고 가장 어려운 문제, 지금 답이 없는 문제의 답을 시간을 통해 찾아내고 있다.


 

먼저 한자의 논리적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승의 반대는 패다. 하지만 한자를 아는 사람에게 승의 반대는 불승이다. 이기지 못하는 것이지 지는 게 아니다. 손자를 이렇게 승을 승과 불승(不勝)으로 나눴다. 이기는 것과 그 반대로 이기지 못하는 게 있는 것이다. 이기지 못하는 게 패를 포함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지는 것, 패가 아니다. 손자는 패도 패와 불패(不敗)로 나눴다. 지는 것과 그 반대에 지지 않는 것이 있는 것이다. 지지 않는 것 역시 승리를 포함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이기는 것만 의미하지는 않다.

 

전쟁엔 이기고 지는 외 다른 경우의 수도 있다.


손자는 전쟁의 결말에 대한 경우의 수를 최대한 늘렸다. 손자에게 전쟁은 반드시 이기고 지는 것만 있지 않다. 내가 갖는 카드는 승, 불승, 패, 불패의 4종류의 카드 중 하나이며, 적 역시 4종류의 카드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럼 다시 나와 적이 가질 수 있는 카드의 조합 역시 다양 해진다. 내가 이긴다고 적이 반드시 패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내 카드가 승리고 적의 카드가 역시 승리라면 이 전쟁은 장기전이다. 누구도 쉽게 이기지 못하는 전쟁이 되는 것이다. 또 내 카드가 패라고 해도 적의 카드 역시 패라면 이 전쟁 역시 쉽게 끝나는 전쟁이 아니다. 서로가 소극적으로 눈치만 보면서 장기전으로 갈 공산이 크다.

 

내 카드가 불승, 이기지 못하는 카드이지만, 적의 카드가 불패일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쟁이 쉽게 끝나는 경우는 내 카드가 승이고, 적의 카드가 패일 경우 또 내 카드가 패이며 적의 카드가 승일 경우다. 그래서 손자는 적의 약해 패할 수밖에 없다고 해도 우리 카드는 무엇인지 봐야 한다고 한 것이다. 적이 패한다고 해도 우리 역시 패하거나 이기지 못하는 경우 전쟁은 장기적으로 진행돼 서로에게 고통스럽기만 하기 때문이다.

 

또 같은 이유에서 우리가 이긴다고 생각해 전쟁을 벌이는 경우 반드시 적의 카드가 무엇인지 봐야 한다. 이것이 손자가 "지피지기"(知彼知己; 적을 알고 나를 알면)면 "백전불태"(白戰不殆;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의 정수다. 백전백승이라 말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백 번 싸워 다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백 번 싸워 다 지지 않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항상 이기는 법은 지지 않고 버티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