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조선이 지난 4월 전세계 발주량의 64%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이어 23%를 수주하며 한국 조선이 2위를 기록했다.
14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는 지난 4월 한국 조선사들은 전세계 선박 발주량 121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40척) 중 28만CGT(7척), 23%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4월 한 달간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지난달 288만CGT(90척)보다 167만CGT 감소한 121만CGT(40척)로 집계됐다. 이중 중국 조선사들이 21만DWT급 벌크선 16척의 자국 발주 등에 힘입어 77만CGT(28척) 64%를 수주해 1위로 우뚝 섰다. 이어 한국이 28만CGT(7척) 23%, 일본 6만CGT(3척) 5%를 각각 기록했다.
1~4월 누계 발주량은 지난해와 비교해 감소한 추세를 보였다. 누계 발주량은 769만CGT로 지난해 같은 기간(1천217만CGT)과 비교하면 큰 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 344만CGT(140척) 45%, 한국 202만CGT(45척) 26%, 이탈리아 111만CGT(14척) 14%, 일본 71만CGT(39척) 9% 순으로 이어졌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국가의 수주잔량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3월말 대비 103만CGT 감소한 8085만CGT를 보였다. 지난달과 비교해 한국은 25만CGT, 중국은 2만CGT, 일본 48만CGT 씩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996만CGT(37%),한국 2098만CGT(26%), 일본 1397만CGT(17%) 순으로 나란히 이름 올렸다.
이밖에 선가추이는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4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과 동일한 131포인트로 나타났다.
선종별로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이 지난달과 비교해 300만 달러 하락한 1억1200만 달러를 나타냈다. 유조선(VLCC)은 9300만 달러, LNG운반선 1억8500만 달러를 나타내며 지난달과 비교해 가격에 변동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