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조선 전세계 발주량 1위 등극..이어 한국 2위

중국 조선이 지난 4월 전세계 발주량의 64%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이어 23%를 수주하며 한국 조선이 2위를 기록했다.

 

14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는 지난 4월 한국 조선사들은 전세계 선박 발주량 121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40척) 중 28만CGT(7척), 23%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4월 한 달간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지난달 288만CGT(90척)보다 167만CGT 감소한 121만CGT(40척)로 집계됐다. 이중 중국 조선사들이 21만DWT급 벌크선 16척의 자국 발주 등에 힘입어 77만CGT(28척) 64%를 수주해 1위로 우뚝 섰다. 이어 한국이 28만CGT(7척) 23%, 일본 6만CGT(3척) 5%를 각각 기록했다.

 

1~4월 누계 발주량은 지난해와 비교해 감소한 추세를 보였다. 누계 발주량은 769만CGT로 지난해 같은 기간(1천217만CGT)과 비교하면 큰 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 344만CGT(140척) 45%, 한국 202만CGT(45척) 26%, 이탈리아 111만CGT(14척) 14%, 일본 71만CGT(39척) 9% 순으로 이어졌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국가의 수주잔량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3월말 대비 103만CGT 감소한 8085만CGT를 보였다. 지난달과 비교해 한국은 25만CGT, 중국은 2만CGT, 일본 48만CGT 씩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996만CGT(37%),한국 2098만CGT(26%), 일본 1397만CGT(17%) 순으로 나란히 이름 올렸다.

 

이밖에 선가추이는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4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과 동일한 131포인트로 나타났다.

 

선종별로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이 지난달과 비교해 300만 달러 하락한 1억1200만 달러를 나타냈다. 유조선(VLCC)은 9300만 달러, LNG운반선 1억8500만 달러를 나타내며 지난달과 비교해 가격에 변동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