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구글, 화웨이와 비즈니스 중단 결정 내려

미국 정부가 중국의 대표 기업 화웨이를 거래제한 기업 명단에 올린 것과 더불어 구글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이전이 필요한 화웨이와 비즈니스를 중단했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 16일 화웨이와 화웨이의 68개 계열사를 거래제한 기업 리스트에 올리며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이에 따라 화웨이와 해당 계열사들은 미국 기업에서 부품 구매 등을 할 때 미국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

 

로이터통신이 1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구글은 안드로이드나 구글 서비스 관련 기술적 지원이나 협력을 화웨이에 제공하는 것을 멈출 예정"이라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구글의 이번 조치에 따라 화웨이는 즉각적으로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계(OS)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할 것이라 이야기했다. 더해 화웨이가 중국 밖에서 향후 출시할 스마트폰 역시 구글 관련한 플레이 스토어, G메일 등과 같은 서비스에 대해 접근 못할 것이라 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구글이 화웨이에 대한 대처와 관련, 특정 서비스의 세부 사항에 대해 여전히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은 다만 화웨이가 누구에게나 무료로 열려있는 '오픈소스'를 통해 제공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에 대한 접근은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화웨이는 세계 최대 통신장비 공급자이자 두 번째 스마트폰 판매자로 핵심 부품 조달을 위해 수십 개의 미국 기술기업과 관계를 맺은 상황에 이번 거래 제한조치는 큰 타격으로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 CNN 방송은 지난 17일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거래제한으로 인해 미국 실리콘밸리 관련 기업의 수입이 연간 110억 달러(약 13조 원) 감소할 것으로 전해진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