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美, 대중 무역전쟁 타깃은 '중국 유학생' 방법은 비자 차별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중 무역전쟁 다음 타깃이 미국 명문대학에 유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로 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화웨이와 기술 전쟁에 이어 다음 타깃으로 미국 내 중국 유학생을 정한 뒤 공격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유학생들은 중국 내 최고 인재들로, 미국 명문대학을 졸업한 이후 각종 연구시설에 들어가 정보를 빼내가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유학생들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학생비자를 제한할 것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많은 중국 유학생들이 연구 환경이 급격히 나빠지는 상황이며, 취업이 힘들어지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국과 중국은 학문에 있어 긍정적인 협업을 이룬 바가 그동안 많았다. 미국 대학들의 정원을 중국의 유학생들이 메꿨고 이들은 졸업 후 각종 연구소에 취직해 미국의 기술 발전에 이바지했다.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은 이들을 산업스파이로 취급받게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유명 연구소에서 일하는 이들이 기술을 중국에 빼돌린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행보는 학문 분야에서 미중의 협업을 더 이상 볼 수 없게 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과거 3주면 발급받을 수 있었던 학생비자도 현재 한 달 이상으로 지체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피치 못해 많은 중국 유학생이 귀국을 고려중에 있다. 하지만 중국은 기술 자립 실현을 위해 인재들의 귀국을 환영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조치에 이어 중국 당국도 중국 학생들에게 미국 유학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심화된 미중 간 갈등의 여파로 중국인들이 비자 발급에 있어 차별적 대우를 받는다는 판단에서 나온 권고로 보인다.

 

중국 교육부는 이날 국영방송을 통해 "미국 유학을 고려중인 학생 및 학자들은 비자 문제 등 관련 위험성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야한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의 후시진 편집장은 "이번 중국의 미국 유학 경계령은 최근 미국이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벌인 차별적 대우 때문"이라고 트위터를 통해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